교육과학기술부는 신용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팀이 바이오마커를 감지하는 나노플라즈마센서에 효소침전반응을 유도해 신호를 극대화한 고감도 바이오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효모침전반응이란 나노기둥 표면에 고정된 항체분자에 바이오마커와 같은 항원을 결합시킨 뒤 다시 효소를 붙인 항체를 더해 신호변화를 극대화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에는 나노기둥 표면에 항체분자를 고정해 바이오마커와 같은 항원을 결합시킨 뒤 흡수파장의 변화를 분석하는 기술이 사용돼왔지만 감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처럼 바이오마커를 인식하는 감도를 기존의 10만배 수준으로 올려서 심혈관계 질환의 바이오마커처럼 혈액 내 1㎖당 Pg(피코그램) 수준으로 극미량 들어 있는 생체성분도 쉽게 감지할 수 있게 됐다.
이 기술은 교육과학기술부 21세기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았으며 연구 결과는 미국 화학학회(ACS)가 발간하는 학술지 ‘ACS Nano’ 2월호에 발표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