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맞춤 화면'으로 N스크린 경쟁 앞선다

(아주경제 윤태구 기자) SK텔레콤은 동영상 콘텐츠를 TV나 PC,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디지털 기기의 화면에 맞게 자동으로 바꿔주는 동영상 인코더 기술을 상용화했다고 13일 밝혔다.

SKT의 ‘멀티스크린용 동영상 인코더’는 여러개의 동영상 콘텐츠를 동시에 처리해 TV나 스마트폰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빠르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하는 ‘주문형비디오 트랜스코더’ 기술과 실시간 방송을 동시에 다양한 비율의 화면 및 형식으로 변환해주는 ‘라이브 비디오 인코더’ 기술로 구성돼 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TV 및 PC, 스마트폰 등에 적용되는 다양한 크기의 영상을 기존 인코더 장비 대비 화질 저하 없이 30% 이상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화질 저하 없이 동영상 다운로드 속도도 높일 수 있어 고객들이 N스크린 서비스에 최적화된 동영상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라이브 비디오 인코더 기술은 실시간 방송 변환중 자막, 로고 편집 및 생성, 방송광고 삽입 등의 기능도 제공한다.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퀴즈 및 설문 조사 등의 양방향 서비스도 지원할 수 있어 사내 방송을 원하는 기업, 지방자치단체 등에도 적합하다.

이 기술은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 없어 기업 고객들이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

현재 이 기술은 SK브로드밴드 B tv의 주문형비디오 서비스에 상용화 됐다.

향후 SKT의 N스크린 서비스 ‘호핀’에도 활용된다.

임종태 SKT 네트워크 기술원장은 “멀티스크린용 동영상 인코더 개발과 상용화 사례는 외산 장비 의존도가 높은 방송 장비 시장에 국산바람을 몰고 올 것”이라며 “지속적인 품질 및 성능 검증을 통해 해외 시장 진출도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