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지식경제부에서 업종별 단체, 무역협회 등 관계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수출입동향점검회의’에서 2분기 철강, 휴대전화, 자동차 수출은 작년 동기 대비 각각 25.6%, 20.3%, 16.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선박, 디스플레이는 공급과잉에 따라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0%, 6.3% 줄어들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1분기 10대 주력산업에서 기록한 수출액은 979억4000만 달러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무협은 수출기업 311개사를 상대로 한 수출 환경 전망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업체들은 환율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최근 수출이 호조를 보인 이유에 대해 ▲고정거래처가 많아서(39.9%) ▲경기회복으로 가격이 상승해서(19.9%)라고 답했다.
하지만 최근 환율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있는 가운데 무역업체들은 환변동에 따른 수출애로를 호소하는 곳도 적지 않았다.
설문 응답업체의 65.6%가 올해 환율이 1100원 이하를 유지하면 당초 설정한 수출목표의 수정이 불가피하고, 38.3%의 업체는 환위험을 관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위험 관리 어려움에 대해서는 ▲예측이 어려워서(38.7%) ▲전문인력이 부족해서(16.2%) ▲거래금액이 소액이어서(12.7%) 등의 순으로 답했다.
수출을 포기해야 하는 한계 유가 수준을 묻는 항목에서 27.0%가 배럴당 130달러대, 22.8%는 120달러대라고 응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