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약제비 증가율 OECD 2.3배”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우리나라 약제비 증가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2.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연구소에 따르면 2002~2007년 연평균 우리나라 약제비 증가율은 9.7%로 OECD 평균 4.2% 보다 2.3배 가량 높았다.

또 국민의료비 증가율은 9.3%로 OECD 평균 3.4%의 2.7배, 노인인구 증가율은 5.0%로 OECD 평균 1.8%의 2.8배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밖에 우리나라 GDP 증가율은 4.3%로 OECD 평균 2.8%에 비해 1.5배 높았다.

약제비, 국민의료비 등의 증가폭은 OECD 보다 높았지만 실질적인 비용규모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OECD 보건의료 통계지표에 의하면 2007년의 1인당 국민의료비는 OECD 평균의 0.6배, 1인당 약제비는 0.9배 수준이었다.

GDP 대비 약제비 비중은 1.1배로 전반적인 보건의료비 규모는 OECD 평균보다 낮았다.

다만 국민의료비 중 약제비 비중은 24.7%로 OECD 평균보다 1.4배 높아 의약품에 의존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건강보험의 약품비 규모와 총 진료비 중 약품비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02년 4조8000억원이었던 총 약품비는 2009년 11조6000억원으로 약 2.4배 증가했고 총 진료비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도 25.2%에서 29.6%로 늘었다.

같은 기간 총 진료비는 연평균 10.9%, 약품비는 13.5% 각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은 2007년 기준 9.9%로 OECD 평균 14.7%의 0.7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소는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노인인구 증가로 추후 건강보험의 지출 규모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라며 “평균수명 증가와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약제비 증가 규모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