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청와대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벌써부터 영수회담 시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만 회동 의제를 두고 청와대가 다소 수비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어, 실제 회동은 일러야 다음 달 중순 이후에나 성사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손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통령과 서로 무릎을 맞대고 앉아 지금 우리 사회와 국민에게 닥친 삶의 위기에 대해 진실한 대화를 나누고 싶다”며 “이번 만남이 삶에 지친 국민에게 희망을 주고, 만나는데 의미를 부여하는 형식적 만남보다 국민을 위한 결단에 합의하는 내용 있는 자리가 됐으면 한다”고 이 대통령과의 회동을 공식 제안했다.
이와 관련해 김두우 청와대 홍보수석도 “청와대는 늘 정치권에 열려 있다”며 “민생 문제에 대해 민주당이 진정성 있게 접근해주길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손 대표는 회동 의제로 △반값 등록금, 물가, 일자리, 전월세, 저축은행 부실, 가계부채 등 민생경제 현안과 △한·미FTA 재재협상 △노사분규 △검찰 중수부 폐지 등 사법개혁 문제, 그리고 △남북관계 등을 제시했다.
그러나 반값 등록금 등의 경우 아직 당·정 간에도 입장 정리가 안 된 상태라 청와대로선 무턱대고 야당 대표를 만나긴 부담스러울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해 김 수석도 “(민주당과) 의제를 조율하는데 시간이 걸릴 것이다”며 “그 부분이 되면 언제든 (회동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수석은 또 “지금은 손 대표의 말(회동 제안)만 있지, 이(의제)에 대한 논의가 안 돼 있다”며 “양측이 접근해보면 (진정성이 있는지가) 드러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한편 이 대통령과 손 대표의 성사될 경우 지난 2008년 9월 이 대통령과 당시 민주당 정세균 대표의 만남 이후 약 3년 만에 영수회담이 열리게 된다.
이 대통령은 이에 앞서 2월 신년 방송 좌담회에서 손 대표와의 회동 가능성을 거론한데 이어 3·1절 기념식장에서 손 대표를 만나 “언제 한 번 봐요”라고 말해 회동을 직접 제안한 것이란 관측을 낳았다. 그러나 민주당의 국회 등원 등 '전제조건’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해 결국 무산된 바 있다.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