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부동산, 공·경매시장 ‘특수’..고가낙찰 속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7-10 11: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평창 동계올림픽 특수로 주변 지역 경매·공매 시장도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올림픽 유치활동이 본격화된 지난달 감정가(최저가) 이상으로 낙찰되는 고가 낙찰 사례가 속출하는가 하면 유치가 기정사실로 된 이달 들어서는 공매 낙찰률과 낙찰가율도 급상승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경·공매 시장이 ‘평창 동계올림픽 특수’로 요동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전자입찰 시스템 ‘온비드(www.onbid.co.kr)’에서 선보인 강원도 평창군의 토지, 콘도, 주택 등 낙찰 사례를 분석한 결과 올해 1~6월 평균 낙찰률이 10.7%에서 이달 들어 46.7%로 4배 이상 높아졌다고 10일 밝혔다.

낙찰률은 입찰 건수 대비 낙찰 건수의 비율로 유치전이 막바지에 달한 7월(1~8일)에만 평창지역 토지 등 부동산 15건이 입찰에 부쳐져 모두 7건이 낙찰됐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도 눈에 띄게 상승했다. 올해 1월 39.9%이던 평창지역 낙찰가율이 6월에는 57.6%로 17.7%포인트나 치솟았다.

낙찰가율이 매월 말 집계되기 때문에 올림픽 유치가 확정된 7월의 낙찰가율은 이보다 더 높아질 것으로 캠코는 보고 있다.

이처럼 평창지역 부동산의 낙찰률·낙찰가율이 동반 상승한 것은 동계올림픽 유치전이 크게 영향을 미친 결과다.

실제 올림픽 경기장이나 알펜시아 리조트 인근 토지 등에는 투자자들이 대거 몰리며 고가 낙찰이 속출하고 있다.

지난달 말 입찰한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의 한 임야는 최저입찰가가 880만8천원이었으나 최종 1천12만원에 낙찰돼 낙찰가율이 114.9%를 기록했다.

또 지난달 중순 입찰한 평창군 봉평면 무이리의 작은 임야도 최저 입찰가(148만8천원)보다 높은 312만원에 주인을 찾아 낙찰가율이 무려 209.7%에 달했다.

캠코에 따르면 2002년 온비드 서비스를 개시한 이후 9년 동안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공매물건은 2005년 9월 낙찰된 평창 소재 임야(2천355㎡)로 무려 187대 1을 기록했다.

캠코는 2005년 9월 당시 평창군의 동계올림픽 유치 경쟁에 따른 인기가 그대로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법원 경매시장에서도 이달 들어 강원지역 부동산의 낙찰가율이 큰 폭으로 뛰는 등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강원도의 경매 부동산 낙찰가율은 지난 5월 61.9%에서 6월에는 64.3%로 오르더니 이달(1~8일) 들어서는 84.9%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아파트는 지난달 90%이던 낙찰가율이 7월에 92.7%로 2.7%포인트 올랐다.

특히 토지의 경우 이달의 낙찰가율이 평균 155.1%까지 치솟았다. 지난 5월의 낙찰가율이 67.6%, 6월 75.1%이던 것에 비하면 2배 이상 높아진 것이다.

고가 낙찰도 사례도 등장했다. 지난달 중순 영월2계 법원에서 입찰한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유천리의 한 임야는 감정가가 1억468만원인데 5명이 응찰해 2억1천238만원에 낙찰됐다. 낙찰가율은 203%다.

지지옥션 남승표 선임연구원은 “이 토지는 도로가 없는 맹지임에도 알펜시아 리조트에서 불과 5km 떨어져 있어 높은 가격에 낙찰된 것으로 보인다”며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한 기대감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강원도, 특히 평창 인근의 토지·아파트·콘도·숙박시설 등이 경·공매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최근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이후 토지 등의 호가가 급등 조짐을 보이고 있는 반면 경·공매 부동산 최소 4~6개월 전에 감정가가 결정돼 가격 경쟁력을 노린 투자자들이 대거 몰릴 전망이다.

캠코가 이번 주 온비드로 내놓을 신규 공매 물건 중에는 평창군의 토지·콘도·숙박시설 등 33건이 몰려 있어 벌써 투자자들의 전화 문의가 빗발치고 있다.

캠코 관계자는 “경매나 공매 물건은 최근 동계올림픽 유치에 따른 기대감이 감정가에 완전히 반영되지 않은 상태이고, 유찰 때마다 최저입찰가가 10~20%씩 떨어지기 때문에 싼값에 낙찰받을 수 있다”며 “올림픽 특수로 한동안 평창과 강원지역 부동산이 경·공매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