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민선5기 1주년을 맞아 13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미래먹거리 마련 등으로 서울을 글로벌 탑 5위 도시로 도약시키겠다는 목표를 재강조했다.
오 시장은 “지난 1년은 시민 삶의 질 향상과 도시경쟁력 강화라는 양대축 아래 민선4기부터 기초를 닦아온 사업들이 뿌리를 내리고 열매를 맺는 결실의 한 해”였다고 자평했다.
또“당장 성과를 보여주는데 연연하기보다 서울의 먹거리와 일자리로 연결되는 미래가치를 육성하는데 흔들림 없이 매진해 1000만 시민이 행복한 서울과 세계가 사랑하는 서울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재선 시장인 그는 지난 5년간 5대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도시·금융·관광 트리플 경쟁력 상승 △서울형 그물망복지 성과 가시화 △공교육 강화를 위한 3무(無) 학교 본격 가동 △재정, 녹지 등 강남·북 균형발전 선도 △서울시민과의 현장대화를 통한 시민소통 프로세스 확립 등이다.
서울시는 오 시장 취임 당시 30위권에 머물렀던 서울의 도시경쟁력이 지난해 9위로 올랐다는 점을 강조했다. 민선 5기 동안에는 이를 5위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이미 금융경쟁력도 2009년 53위에서 올해 16위로 무려 37계단이나 상승했고, 관광경쟁력도 올해 처음 관광만족도가 90점대를 돌파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6월 국제협회연합(UIA)이 발표한 세계 도시 컨벤션 순위에서도 전통적인 컨벤션 도시인 제네바, 베를린을 제치고 세계 5위를 기록했다. 이는 2009년 9위에서 4계단 상승한 수치다.
오 시장은 “2006년부터 준비해 온 서해뱃길사업 역시 미래 일거리와 먹거리를 창출할 미래 관광 사업으로 중단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서울형 그물망복지야말로 무차별적 퍼주기로 서민 몫을 빼앗는 무상복지의 대척점에서 저소득층의 실질적 자립을 유도하고 가난의 대물림을 끊는 진짜 친서민 정책”이라고 말했다.
특히 민선5기를 맞아 ‘무상급식’으로 촉발된 복지포퓰리즘에 대해 과감히 제동을 걸었다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23억 전액 시비를 부담해 결식아동 급식비 단가를 3500원에서 4000원으로 인상한 것을 예로 들었다. 이밖에도 강남과 강북간 재정격자가 4.6대 1로 2008년 17대 1에서 대폭 줄었다고 자평했다.
향후 계획으로는 ”앞으로 민선5기동안 1조원을 교육지원사업에 투자해 공교육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오 시장은 밝혔다.
또 ”2020년까지 최소 72만호의 주택을 공급하고, 공공임대주택 비율을 현재 5%에서 10%까지 확보해 OECD 평균인 11%에 육박할 수 있게 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