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궈정취안왕(中國證券網)에 따르면 3개월이라는 짧은 시간동안 윈난(雲南), 광시(廣西), 후난(湖南), 장쑤(江蘇) 등지에서 은 거래소가 개설 됐거나 개설 방침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여기에다 기존의 상하이(上海)금거래소, 톈진(天津)귀금속거래소 등이 은 거래를 추가하고, 시중은행들은 금 투자상품과 똑같은 은 투자상품을 출시하면서 중국 전역에서 은 투자 열풍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상하이의 경우 은 거래규모가 거의 10배나 증가 했으며 은행의 은 투자 계좌 개설도 급증했다. 이처럼 실제로 은을 사거나 은행 등의 투자 상품을 구입하는 사람이 늘면서 거래규모에서 은은 금을 앞서 귀금속 시장의 새로운 총아로 떠올랐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국제 은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묻지마 투자에 나섰던 각종 거래소들이 올 하반기에 유동성 위기에 처할 것이라며 경고하고 나섰다.
또한 중국의 은 유통 시스템이 불안정해 일단 은 투기 거품이 걷히고 나면 위험이 불보듯 뻔하다고 이들은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