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 에너지전진기지를 가다③] 개발에 눈뜬 삼척시…‘호산항’ 국가관리항 돼야

(삼척=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21세기 동북아 에너지메카로 거듭나려는 삼척시가 추진하고 있는 핵심사업 가운데 하나가 지방 관리항인 호산항을 국가무역항으로 키우다는 것이다.

일단 이 같은 계획에 대해 중앙정부에서도 원론적으로는 긍정적인 반응을 내놓고 있다. 국가무역항 지정권한을 갖고 있는 국토해양부는 지난 2009년 호산항 개발여건이 조성될 때에는 국가관리항 지정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회신, 삼척시를 들뜨게 했다.

한국가스공사 삼척LNG 생산기지와 함께 내년초 본공사 착공을 앞두고 부지매립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는 한국남부발전의 삼척그린파워 종합발전단지 건설공사가 착착 진행되면서 호산항 개발여건이 무르익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재정여건이다. 타 지역도 마찬가지로 탄광지역으로 개발의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삼척시의 재정여건이 별반 다르지 않다.

호산항 종합개발계획 조감도
지난 2008년 강원대 삼척산학협력분단이 내놓은 '2020년 삼척장기발전종합계획'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호산항(40만평) 규모는 삼척시가 추진하고 있는 방재산업단지, 조선산업단지, 첨단에너지복합산단, 첨단신소재산단 등의 대규모 물동량이 원활하게 처리되려면 최소 30만t의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춰야 한다.

현재 한국가스공사 삼척 LNG생산기지(연간 물동량 1600만t, 사업비 3090억원)와 한국남부발전이 건설중인 삼척그린파워 종합발전단지(1400만t, 사업비 1323억원) 등은 오는 2013년말까지 자체 선박접안시설을 갖추게 된다.

삼척시는 이와 별도로 지난해 12월 ‘호산항 국가관리항 지정 및 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오는 2015년까지 호산항개발(4500억원)과 방파제 1식(2800억원) 건설비용에 국비 7300억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 같은 지원이 없을 경우 SNG·CTL단지(무연탄·합성석유 1500만t), 방재산단(잡화·곡물 500만t), 동양시멘트(시멘트·석회석 1500만t), 기타(경량골재·DME 등 400만t) 등 각종 산업소재에 쓰이게 될 원재료 물동량 2400만t을 처리할 수 없다는 것이다.

동북아 물류중심 항만을 건설하겠다는 삼척시의 꿈이 실현되려면 국가무역항 지정이 필수적인 이유다.

삼척시 에너지지원과 관계자는 “호산항 여건은 수심이 깊어 대형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여건이 충분하다”며 “호산항 확장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삼척시는 남·북·러 가스전 연결의 종착역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삼척LNG 생산기지 건설에 대한 기대감도 숨기지 않고 있다. 실제 최근 들어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로 강원지역에 대한 개발 분위기가 커지면서 썰렁했던 삼척시내도 곳곳에서 차량들로 넘쳐나고 있었다.

한 주민은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어느 때보다 커져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개발이익이 지역에도 골고루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