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임 후 사저 문제로 골머리 썩는 MB, 與 냉랭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1-28 18:2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이명박 대통령은 퇴임후를 고민하고 있다. 퇴임까지 1년 반을 남겨둔 상황에서 내곡동으로 사저를 옮기려다 덜미를 잡혔다. 지난 10월 부동산 실명제법 위반과 배임 의혹 등으로 내곡동 사저 계획을 백지화했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내곡동 사저 포기 이후 논현동 사저로의 회귀를 표명했다. 그러나 논현동도 안된다고 고민하고 있다. 주택이 밀집한 지역이어서 대통령 경호에 구멍이 뚫렸다는 우려 때문이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28일 “애초부터 청와대는 이 대통령의 퇴임 후 사저로 논현동 자택을 포함해 원점에서 재검토한다는 것이었다”며 “이 대통령이 논현동 자택이 아닌 제3의 장소로 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관계자도 “청와대가 논현동 자택의 경호부지 매입비용 문제로 이 대통령의 새로운 사저 터를 강북지역에서 물색하고 있다는 사실을 전달받았다“고 말했다. 여권의 다른 관계자는 ”강북뿐만 아니라 경기도 쪽도 알아보고 있는 것으로 안다. 돈은 정해져 있는데 조건에 맞는 땅을 찾기가 쉽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 11월 4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도 김백준 청와대 총무기획관이 “과거의 논현동이 아니고 지금은 그 주변이 전부 4~5층으로 올라가 있어 (이 대통령) 집이 완전히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진영곤 청와대 고용복지수석도 “논현동이 적절치 않으면 제3의 장소를 선택하는…, 그런 방법이 있다”고 말해 청와대 측도 이미 논현동 이외의 부지를 염두에 두고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당시 운영위에선 이 대통령 사저의 경호시설 부지 매입비용 40억원, 경호시설 건립비용 27억원 등 모두 67억원을 추가로 배정하는 예산안이 통과됐다. 청와대는 국고 42억원이 들어간 내곡동 사저 경호시설 터는 기획재정부로 관리 전환한 뒤 매각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여당에선 이 대통령의 사저 제3 부지 물색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한나라당 고위관계자는 “솔직히 내곡동 사저 이전 논란으로 서울시장 선거에서 패배했다”며 “아직도 (대통령이) 정신을 못차린 것이냐. 경호사동 규모를 축소해서라도 내곡동에 남아 있어야 한다”고 성토했다.
 
 이에 청와대는 ‘낮은 포복’으로 일관하는 분위기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강북지역에서 사저 터를 물색하고 있는지에 대해선 답변하지 않고 “내곡동 땅 처리 문제를 포함해 이 대통령 퇴임 후 사저 계획이 정리되면 투명하게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