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현지시간) 대(對)이란 제재에 참여하기로 한 11개국 대표가 로마에서 회의를 가진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이날 회동에서 국제 유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이란의 원유 수출에 제재를 가할 혜안을 도출하기 위해 모인다고 WSJ은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는 선진 7개국(G7)외에 한국, 호주, 사우디 아라비아 등의 외무·재무장관과 유럽연합(EU) 대표들이 참석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서방국은 이란의 원유 수출을 막거나 에너지 교역을 관장하는 이란 중앙은행에 제재를 가하는 방안을 선뜻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
국제 석유시장에 찾아올 후폭풍이 두려운 까닭이다.
작년 한 해 이란은 하루에 원유 260만 배럴을 전 세계에 수출했다. 이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 가운데 두 번째로 많은 수출량이다.
그럼에도 이란의 핵무기 개발과 테러범죄 지원을 막으려면 이제는 ‘원유수출 제재’ 카드밖에 남지 않았다는 여론이 힘을 받으면서 최근 몇 주 사이에 서방국을 압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이란 제재 참여국들은 이란의 원유수출이 중단될 경우 사우디,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UAE) 등 산유국들이 원유 생산량을 늘려 공백을 메우길 촉구하고 있다.
또한 서방은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동맹국과 EU 회원국 전체가 단결된 태도로 대이란 제재에 참여하는 것이 성공을 가를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과 인도 등 신흥국이 이란산(産) 석유수입 중단에 참여할 가능성이 희박해지자, 나머지 국가라도 힘을 합쳐 이란을 압박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란 제재’와 ‘유가폭등 저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회의적인 의견도 만만치 않다.
쿠웨이트 에너지 당국의 한 관계자는 “이란의 원유 수출이 중단된다면 하루에 360만 배럴에 달하는 이란의 원유 공급량을 나머지 걸프국들이 채울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