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1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39만3000원으로 전년대비 4.6% 증가했지만 교육비는 0.7% 감소했다.
고유가와 물가상승으로 교통비(8.7%), 식료품·비주류음료(7.1%), 의류·신발(7.4%) 등 대부분의 소비지출비용이 크게 늘어난 반면 교육비만 줄었다.
교육비 항목 중 학원과 보습교육비는 0.9% 증가했지만,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 증가율은 -2.3%를 보였다.
중고등학교 수업료 등 정규교육비는 경남, 경기, 강원, 전북, 광주, 제주 등 6개 시도에서 지난해 4분기부터 5만원 안팎인 학교운영지원비를 전액 면제하면서 -3.0% 증가율을 보였다.
식료품비는 곡물이 10.9% 증가하고, 육류와 과일이 각각 6.2%, 5.6% 증가하면서 7.1% 늘어난 월평균 33만9000원이 지출됐다.
교통비는 자동차 구입이 늘어나는 등 자동차 구입비용이 16.1% 증가하고, 연료비가 9.7% 증가하면서 8.7% 상승했다. 월평균 교통비 지출액은 28만9000원이다.
통신비 지출액은 월평균 14만3000원으로 전년대비 3.1% 증가했다. 스마트폰 보급확대 등으로 통신장비지출은 49.3%나 뛰었고, 통신서비스비용지출은 2.5% 증가했다.
실제주거비가 7.9% 증가하고, 연료비가 2.6% 증가하면서 주거와 수도, 광열비 지출액은 월평균 24만3000원으로 5.5% 늘었다.
전체 오락과 문화비 지출액은 월평균 12만9000원으로 전년대비 1.9% 늘었다.
외식비 등 식사비는 2.5% 증가했지만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증가율은 -1.7%를 기록했다.
세금과 보험 등 비소비지출은 월평균 72만2000원으로 전년대비 7.2% 증가했다.
소득세와 재산세 등 경상조세는 15.8% 증가한 월평균 11만3900원이 지출됐고, 양도소득세와 상속증여세 등 비경상조세는 1.9% 늘어난 월평균 1만3400원이 지출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