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은 지난 2일 김관진 국방부장관 주재로 국방부 중회의실에서 열린 제56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이 같은 방안이 논의됐다고 밝혔다. 공정성 및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협의회는 방위사업청 사업관리본부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외교안보 및 항공우주, 조달관련 10개 중앙행정기관 과장급이 위원으로 참석하게 된다. 필요시 민간 전문가도 참여한다는 게 청 측 설명이다.
참여 부처는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외교통상부, 국방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중소기업청, 조달청, 방위사업청이다.
이 협의회는 3월부터 기종 결정시까지 지속 운영된다.
한편 이날 위원회에서는 ‘대형 항공전력 구매사업 추진현황’과 ‘차기 군단정찰용 무인항공기(UAV) 체계개발기본계획(안)’도 함께 다뤘다.
대형 항공전력 구매사업에 대해서는 차기 전투기를 비롯, 대형공격헬기, 해상작전헬기의 3개 사업의 투명ㆍ공정성 제고를 위해 F-X 공군평가단을 30%(40여 명) 늘리기로 했다.
차기 정찰용 UAV 계획은 올 3월 입찰공고, 5월 제안서 평가를 거쳐 7월부터 본격 착수키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