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기술의 스마트기기 마이쉐프 덕분에 재료 주문과 요리도 자동화돼 음식 준비도 어려울 것이 없다. 집안 청소는 인공지능을 가진 가사도우미 로봇이 알아서 해줘 여유 있는 시간을 보내고 있다.
남편 이주석씨는 무인주행이 가능한 스마트카를 타고 출근, 직장인 스마트워크센터에서 장애인이지만 지능형 근력 로봇 덕에 일반인과 같이 생활하는 직장 동료와 함께 사하라 사막의 태양광 발전소를 짓는 프로젝트를 원격 진두지휘한다.
# 의상 디자이너인 골드미스 이모 이성아씨는 이탈리아 밀라노 출장지에서 스킨케어와 마사지를 제공하는 기기를 이용해 얼굴관리를 받는다.
건강식단 제공 서비스 로봇으로부터 아침 식사를 받고는 뉴욕에 있는 친구와 홀로그램 메시지로 대화를 한다.
할아버지 이손재씨는 인공신장 수술을 했지만 의료로봇의 도움을 받으면서 몽골을 여행하고 있다. 여행 도중 응급사태가 발생했지만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울의 주치의와 의료로봇 도움으로 무사히 치료를 받는다.
학생 이태극군은 교실에서 실감현장 학습을 받고 방과 후 친구들과 테마파크 실감체험관에서 징기즈칸의 생애 체험에 나섰다. 몽골에 계신 할아버지에게 실감체험 홀로그램 영상도 보냈다.
2025년 이들 가족은 미래형 복합 문화 주거단지의 초고층 아파트에 살면서 가사, 쇼핑, 여행, 교육, 직장 등에서 IT 신기술의 혜택을 받으며 스마트한 하루를 보내고 있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은 5일 ‘체계적인 기술발전 미래상 제시를 위한 IT 기술예측조사’ 보고서에서 이 같은 미래 생활 시나리오를 소개했다.
산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생산용 로봇들이 쓰이면서 화이트 칼라, 블루 칼라의 구분이 없어지고 산업 현장은 로봇과 각종 자동화 기계를 제어하는 컨트롤 오피스가 될 전망이다.
학교는 자기주도형 학습의 장이 되고 선생님은 강의보다는 학생의 창의적 능력개발을 도와주는 역할이 커진다.
보고서는 많은 양의 전력을 값싸게 저장하는 차세대 나트륨 이온전지, 에너지 수집기능을 갖춰 충전이 필요없는 휴대기기, 초절전 인터넷, 99% 통역 시스템, 대화형 개인비서, OLED 조명, 플렉시블 용액 OLED 디스플레이, 초고해상도 플라스틱 디스플레이, 수술 로봇, 치료 결과 예측 시스템, 의료 진단용 3차원 홀로그램 등을 20대 IT 유망 기술로 꼽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