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 2분기 ELS 발행액은 직전분기 대비 6.6% 증가한 14조28억원을 기록했다. 분기별 발행량 중 사상 최대치다.
ELS 발행 증가는 올 상반기 불안한 주가 등락에도 수익 창출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아 ELS가 좋은 대안 상품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4~6개월마다 조기상환 기회를 부여해 재발행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증권회사다 각종 매체를 이용한 마케팅을 활발하게 진행한 것도 ELS 발행 증가를 촉진한 것으로 보인다.
ELS 공모발행액은 4조9013억원으로 35%를 차지했고, 사모발행은 9조1015억원으로 65%를 차지했다.
2분기 원금보전형태별 ELS 발행액은 원금비보전형이 8조9609억원으로 64%, 전액보전형은 5조313억원으로 35.9%를 차지했다.
기초자산별 발행실적으로는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가 전체 발행금액의 88.1%를 차지했고, 개별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는 10.4%를 차지했다.
증권회사별 ELS 발행금액은 대우증권이 2조1072억원으로 15%를 차지했고, 이어 하나대투증권, 우리투자증권 순으로 나타났다.
ELS 상환액은 8조2815억원으로 직전분기 대비 7.8% 감소했다. 상환액 감소는 2분기 주식시장의 조정으로 조기상환 기회가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상환유형별로는 조기상환이 4조3838억원으로 52.9%, 만기상환은 3조5400억원으로 42.7%를 차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