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일표 공동대변인은 이날 당사에서 현안 브리핑을 통해 “만약 경선 후보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특정 후보를 제외한 상당수의 표가 무효처리 됐다면 이것은 민심의 왜곡을 떠나 부정 투표에 버금가는 일”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당은 국민의 세금인 국고보조금을 받는 만큼 특정 후보에게 유리하게 설정된 투표방식이 확인된다면 민주당이 새누리당의 경선에 대해 혹독한 비판을 해온 것만큼 자당의 사안에 대해서도 같은 기준에 잣대를 가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민주통합당은 지난 4.11총선 때는 모바일 조직 동원선거로 인한 자살 사건, 8월 중순 경에는 경선을 앞두고 제작한 선거홍보물이 특정 후보에게 불리하다는 이유로 전부 폐기한 사건이 있었다”며 “이번 사태에 대한 진상이 철처히 밝혀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홍 대변인은 “제 1야당이 민심의 왜곡 없이 정당하고 공정한 절차에 따라 대선 후보 선출하길 바란다”면서도 “그동안 모바일 투표와 관련해선 조직동원 및 역선택의 우려, 정당존재 의미 부정, 휴대전화를 이용하는 연령대와 지역별 편차로 인한 민심 왜곡 등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돼 왔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