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전 대표는 3일 국회에서 당의 단합을 강조하는 기자회견을 연 뒤 기자들에게 “대선 후보는 고통의 자리가 될 것”이라며 “쉬운 일이라면 아마 고민조차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통합진보당 구당권파 소속의 이상규 의원은 이 전 대표의 대선 출마 여부에 대해 “이 전 대표의 마지막 결심이 남은 상황”이라고 전한 바 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회견에서 “하루빨리 통합진보당을 정상궤도에 올려 민중들 속에서 2012년 정권교체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당의 단합을 강조했다.
이어 “중앙위원회에서 일어난 폭력사태가 많은 당원과 국민의 실망을 더했다는 점을 뼈아프게 받아들인다”며 “그 직후 시작된 저의 침묵과 근신은 그에 대해 최종 책임을 져야 하는 위치에 있던 제가 취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신당권파 소속의 박원석 의원은 기자회견 직후 “이 전 대표는 당장 강기갑 대표의 혁신적 재창당안을 수용하고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 전 대표의 대선 출마는 정권교체에 도움이 되지 못할뿐더러 오히려 정권교체를 위한 야권연대와 단결을 헤치고 대선승리의 발목을 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당권파 인사들로 구성된 진보정치혁신모임도 입장 발표를 통해 “이 전 대표의 사과에 농락당할 당원과 국민은 아무도 없다”며 “더 이상 통합진보당으로는 당원과 국민의 어떤 기대도 충족시킬 수 없음을 확인시켜 줬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