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한 서울, 한쪽은 '하우스푸어 비명' 한쪽선 '내집마련 기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9-07 13:3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전국 경매물건 감소 속 수도권만 증가.."아파트 매입 노려볼만"

아주경제 권경렬 기자=8월 전국 법원경매 물건 수가 연중 최저치로 떨어졌지만 서울·수도권 아파트는 오히려 지난달보다 늘었다. 이 지역‘하우스푸어(집을 소유했지만 이자 부담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집주인을 가리키는 신조어)’들의 아파트가 속속 경매시장으로 넘어가고 있는 탓이다.

6일 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8월 한달간 전국 법원에 나온 경매물건 수는 1만9481개로 전월 대비 11.91%(2634개) 줄었다. 경매물건 수가 2만개 이하로 떨어진 것은 지난 2월(1만9753개) 이후 6개월 만이며 올해 최저 수준이다.

오피스텔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업무시설 경매물건 수는 7월 440개에서 8월 258개로 41.36%(182개)나 줄었다. 이어 숙박시설이 227개에서 189개로 16.74%(38개), 토지가 8210개에서 6939개로 15.48%(1271개), 단독주택·다가구는 1448개에서 1268개로 12.43%(180개) 각각 줄었다.

전국적으로 경매물건이 감소세를 보인 반면 서울·수도권 소재 주택 경매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8월 들어 경매시장에 나온 주택(아파트·연립 및 다세대·단독주택 및 다가구) 물건 수는 4953개로 7월(4871개) 대비 1.68%(82개) 늘었다.

특히 아파트 경매물건 수는 7월 2511개에서 8월 2643개로 5.26%(132개) 늘었다. 같은 기간 단독주택 및 다가구도 476개에서 492개로 3.36%(16개) 증가했다.

연립 및 다세대 1884개에서 1818개로 3.5%(66개) 줄었지만 전국 기준 물건 수 감소율이 12%에 육박하는 점을 감안하면 큰 의미를 두기는 어려운 것으로 평가됐다.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8월 경매시장 동향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하우스푸어’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대목”이라며 “특히 원금상환 기일이 도래한 가계의 경우 갑자기 늘어난 금융비용을 감당하기가 벅찰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수도권의 주택 경매가 늘어나는 때일수록 경매로 내집마련을 할 수 있는 시기라고 전문가들은 전한다.

설춘환 알앤아이컨설팅 대표는 “경매를 통해 주택을 장만하려는 입장에서는 오히려 지금이 양질의 매물을 저렴하게 매입할 수 있는 적기”라며 “자금사정이 허락하는 실수요자라면 아파트 매입을 노려볼 만한다”고 조언했다.

실제로 경매물건수가 늘어날수록 경매에 나서는 입찰자들도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8월 경매시장에서 서울·수도권 아파트 입찰에 나선 응찰자 수는 3693명으로 전월인 7월 3411명보다 8.27%(282명) 늘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