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도내 생활폐기물 소각장 대부분이 기준치의 1/100도 안되는 다이옥신을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각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인 강열감량 분석결과도 모든 시설에서 기준 이내로 분석돼 소각장 운영이 친환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도는 이번 분석결과를 토대로 열분해용융방식 등 신기술 도입과정에서의 나타난 운영 미숙 등의 문제점은, 향후 정책과제로 추진해 폐기물 처리 효율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도 자원순환과 관계자는 “민간에서 운영 중인 사업장폐기물 소각장과 달리 시·군에서 운영중인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은 매우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굴뚝 TMS로 실시간 대기오염도를 공개하는 등 지난 10여년 동안 쌓아 온 노하우가 자리를 잡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