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업체 한국실리콘이나 유관업체인 관계사가 관련업황 침체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사채 발행뿐 아니라 경영권 방어수단인 지분까지 잡혀가며 자금을 끌어모으는 것으로 풀이됐다.
이런 과정에서 윤 회장 측 상장업체 오성엘에스티와 신화인터텍 주가만 연고점 대비 최대 70% 이상 하락, 투자에 주의해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26일 금융감독원ㆍ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윤 회장은 이날 현재 코스닥 잉곳ㆍ웨이퍼업체인 오성엘에스티 지분 258만주(발행주식대비 9.29%) 전량을 담보로 우리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하고 있다.
윤 회장이 100% 출자한 태양광장비업체 수성기술이 지금까지 금융권에서 돈을 빌리면서 잡힌 오성엘에스티 주식도 보유 지분 659만주(23.69%)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321만주에 이른다.
오성엘에스티도 마찬가지다. 이 회사는 전월 6일 서울저축은행에서 대출받으면서 자회사인 코스닥 필름업체 신화인터텍 지분 999만주(33.36%) 가운데 40%에 가까운 355만주를 담보로 잡혔다.
오성엘에스티와 신화인터텍 주가는 올해 들어 각각 1만5900원, 7260원까지 올랐다가 전일 현재 4655원, 4320원으로 70.72%, 40.50%씩 떨어졌다. 주가 하락으로 담보가치가 떨어질수록 윤 회장이나 오성엘에스티 측이 금융권에 잡혀야 하는 지분도 늘어날 수 있다.
오성엘에스티가 상반기에만 270억원에 이르는 영업손실을 기록한 가운데 이 회사나 관계사에서 사채 발행도 이어졌다.
윤 회장이 오성엘에스티를 통해 지배하고 있는 비상장사 한국실리콘은 전일을 청약일로 200억원 상당 전환사채(CB)를 발행했다.
오성엘에스티 또한 2011년 5~7월 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로 각각 745억원, 320억원씩 모두 1060억원 이상을 모았다. 이 회사는 이달 들어서도 300억원 상당 신주인수권부사채 추가 발행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성엘에스티 주가는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 추진설에 대한 조회공시요구를 받은 앞서 12일부터 전일까지만 20% 넘게 내렸다.
업계 관계자는 "태양광업황 침체로 실적이 악화된 반면 자금수요는 되레 늘어나는 상황으로 보인다"며 "2011년부터 심화되고 있는 공급과잉 현상이 해소되기까지는 상당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