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우파로 알려진 아베 총재는 과거 총리 시절 일본의 과거사를 비롯해 일본군 위안부 강제연행을 부인하고 재일동포 참정권을 반대하는 등 한국과 중국에 심한 반발을 일으켰다.
일부 전문가들은 아베 총재가 권력을 쥐게 된다면 구태한 파벌정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과거처럼 파벌의 입김에 정치적 혼선을 드러낼수 있다고 분석했다.
앞으로 일본의 정치권이 우경화에 급물살을 탈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5년전 그는 총리 재임시절 전쟁을 금지한 헌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가 하면 일본이 공격을 받지 않아도 타 국가를 공격을 해도 된다는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해야한다고 주장했었다.
그는 최근 일본과 한·중사이 영토분쟁에 관해 "강경 대응만이 분쟁을 방지할수 있다"고 주장해 영토분쟁의 갈등은 오히려 더 심각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