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잇따른 초대형 개발 사업 '좌초', 후유증 우려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1-13 14:3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준혁 기자=불황의 장기화로 그동안 '단군 이래 최대 규모'로 꼽혔던 주요 개발 사업이 줄줄이 중단위기에 처했다. 이같은 대규모 개발 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기 어려워지며 그동안 오랜 기간동안 재산권 행사를 못한 해당 지역 주민의 반발이 빗발치고 있고 시행사·지자체 간의 갈등도 커지는 등 다양한 후유증 또한 커지고 있다.

◇자금난 때문에 무산 위기에 처한 서울 용산개발·인천 에잇시티

부동산업계와 서울·인천시에 따르면 그동안 10년 이상 추진된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과 인천의 용유·무의도 개발 사업(에잇시티 사업)이 자금난 때문에 무산 위기에 처했다.

2006년 정부종합대책으로 확정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은 용산 철도정비창과 서부이촌동 일대 56만6000여㎡에 31조원을 투입해 111층 랜드마크타워 및 호텔 등 60여개 동을 짓는 초대형 프로젝트이다.

하지만 사업 출자사들이 세운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의 잔고가 현재 50억원에 불과해 이달 17일 자산유동화증권(ABS) 이자 47억원을 내면 바닥이 난다.

오는 3월12일 자산유동화기업어음(APCP) 이자 53억원을 내면 부도위기에 처할 상황이나 1·2대 주주가 사업 추진 방향과 추진 주체 등으로 충돌하면서 추가 자금조달에 나서지 않고 있다.

한 출자자는 "용산사업 출자자 대다수는 기업과 펀드로 사업이 중단되면 바로 투자손실"이라며 "자금력이 있는 일부 출자자가 추가 자금을 우선 지원해 사업부터 재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사업이 차질을 빚자 출자자들은 손실 가능성에 전전긍긍하고 있고 5년 동안 집을 팔지 못한 서부이촌동 주민들도 속앓이를 하고 있다.

에잇시티 사업은 여의도의 28배에 달하는 용유·무의지역 79.5㎢에 2030년까지 317조원을 들여 문화·관광·레저 복합도시를 만드는 것으로, 정부 1년 예산에 맞먹는 단군 이래 최대 사업이다.

그렇지만 사업시행 예정자인 ㈜에잇시티가 작년 10월말 인천시와 협약을 맺은 뒤 투자금을 한 푼도 못 유치, 자금난에 봉착했다.

사업 추진이 부진하자 당장 3000여 명의 토지주의 반발이 매우 거세다. 인천시는 10일 회의를 열어 토지주 대표들과 사업추진 방안을 논의했지만 해법을 찾지 못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자금 선투자 이행과 토지보상금(6조8000억원)의 마련 가능성 등을 고려해 최대한 지원하겠다"는 입장만 밝혔다.

◇상암 랜드마크빌딩 무산, 서울시-시행사 소송행?

상암 DMC에 133층 규모 랜드마크 빌딩을 건설하는 프로젝트는 이미 지난해 6월 사업의 취소 절차를 밟았다. 2009년 4월 용지의 매매계약을 맺고 3년여 동안 추진했지만 용지를 공급받았던 서울라이트타워㈜가 토지대금의 납부를 이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후 서울시와 시행사 간 갈등이 심화되며 소송 가능성이 나오는 등의 후유증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서울라이트타워 측은 360억원만 위약금으로 물면 된다는 입장인 반면 시는 잔금이자도 포함해 50억~60억원을 더 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만약 양측의 원만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소송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사업재개 시점도 불투명하다. 국내외 경기침체와 건설경기의 부진이 겹쳐 대규모 건립 사업 추진이 어렵기 때문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위약금 정산에 대한 협의가 안 된다면 결국 사법적 판단을 구할 수밖에 없다"며 "부지를 랜드마크로 하겠다는 기본 방향은 변함 없다. 다만 경제여건 등 변화된 상황을 고려해 내부 검토를 충분히 거친 뒤 재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과 사업 참여자들은 이들 사업이 무산되거나 부진한 것은 글로벌 경기불황과 부동산 경기 침체·준비 부족 등이 맞물렸기 때문이라며 후유증 최소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국내외 경기상황이 달라졌지만 투자자들과 시, 시행사 등이 장기 사업 추진 방향에 대한 확신과 준비 없이 사업에 뛰어든 것이 잘못"이라며 "사업을 장기간 끌면서 기회비용과 금전적 부분의 손실이 발생하는 등 후유증만 더욱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