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서울시교육청은 본청 직원 등 16명의 특별점검단을 구성, 지난 10일부터 오는 28일까지 20개교 1·2학년 수학 교과과정 운영 실태를 살핀다고 11일 밝혔다. 앞서 시교육청은 소속 고등학교인 특목고와 자율고 53개교 수학교과 운영계획을 점검해 선행학습 가능성이 있거나 서류가 미비해 좀 더 확인할 필요가 있는 학교 20개교를 추렸다.
일반고와 중학교의 경우 각 지역교육청이 자체 점검한 결과를 오는 7월 31일까지 보고 받기로 했다.
‘선행학습 금지’는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으로, 전날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교과과정 밖의 입시 출제를 금지하는 내용의 대선공약 실현이 다른 여러 교과서들로 인한 문제로 어렵지만 포기할 수 없는 목표”라고 언급하는 등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지난 4월에는 강은희 새누리당 의원이 초·중·고 교육과정, 초·중·고 입학전형, 대학 입학전형 등에서 선행학습 유발 요소를 차단하는 ‘공교육 정상화 촉진에 관한 특별법안’을 대표 발의한 상태다.
하지만 이는 사교육 업체를 대상으로 한 것이라, 이번 시교육청이 공교육을 겨냥한 조치는 다소 의외로 보인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은 “일선 학교에서 한해 교육과정을 1학기에 모두 가르치고 2학기에는 대입을 위한 수업을 하는 것으로 전해진 상황이라 점검에 나섰다”며 “선행학습이 많이 이뤄지는 수학교과를 자세히 들여다보는 것”이라고 전했다.
학교들의 반발도 따른다. 수학의 경우 3학년 2학기 때 보는 9월 모의평가 출제범위가 전 교과이고 수능도 11월 초여서 1·2학년 때 미리 진도를 나가지 않으면 학생들이 오히려 사교육으로 몰릴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에 시교육청 관계자는 “이런 문제로 사전에 수학과목은 수Ⅰ·Ⅱ 진도를 병행해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등 교과편성에 탄력성을 주고 있다”며 “문제가 심한 학교들이 편성계획대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도할 것”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