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9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에서 진행된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제4차 회의에서 북측에 이같이 제안했다고 통일부가 밝혔다.
우리 정부의 제의에 대해 북한은 명확한 입장을 밝히진 않았지만 "계속 협의하기로 하자"고 답했다고 통일부 당국자는 전했다.
남북은 공동 투자설명회를 지난 10월 31일 개최하기로 개성공단 재가동 당시 합의했지만 북한이 일방적으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연기하고 대남 비난을 시작하면서 무산됐었다.
남북은 이날 전자출입체계(RFID) 공사 및 일일단위 상시통행 조속 실시, 인터넷 서비스 등 3통(통행·통신·통관) 문제 개선, 출입체류 부속합의서 채택 등 개성공단 재가동 당시 합의 사안과 향후 추진 과제도 논의했다.
북한은 주로 근로자 임금 인상과 체납 문제 등에 관심을 보였다고 통일부 당국자는 전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판문점 연락관을 통해 총 4억4천만원 상당의 개성공단 통관시설 및 서해 군 통신선 개보수 자재·장비 지원 계획을 북측에 전달했다.
통관 분야의 경우 엑스레이 검색대와 문형·휴대용 금속탐지기, 이동세관검사를 위해 필요한 차량 2대 임대 등 총 2억 7000만원 상당을 지원키로 했다.
또 서해 군 통신선 유지·보수를 위해 동케이블과 축전지 등 관련 자재와 선로 점검용 차량 3대, 50t 상당의 유류 등 총 1억 7000만원 상당을 지원할 계획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원활한 개성공단 통행을 위해선 군 통신선이 필수적인 점을 고려해 최소한의 수준에서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며 "유류는 전용 가능성을 고려해 분기에 1번씩 총 4번에 걸쳐 나눠 주기로 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