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주진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설치하겠다고 밝힌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가 내달 출범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위원회 성격과 규모, 인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는 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안을 만드는 등 국무회의 심의·의결 절차를 밟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청와대는 설치근거가 마련되면 인선과 설치준비 작업에 박차를 가해 이르면 다음 달 위원회를 공식 출범시킨다는 방침이다.
위원회 구성은 대통령이 위촉하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해 20명 내외의 위원들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교·안보, 경제·사회·문화 등 민간 전문가와 시민단체 등이 폭넓게 참여하는 형태로 기존의 대통령 직속 위원회가 위원장을 포함해 20명 이내 위원으로 구성된 것을 감안한 수치다.
정치권 인사 등 명망과 상징성을 갖춘 인물이 위원회를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이 경제와 함께 '통일'이 향후 국정운영의 핵심과제가 될 것임을 분명히 한 만큼 위원회 중요성을 감안해 위원장을 대통령이 직접 맡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통일준비위는 문화융성위원회, 국민대통합위원회, 청년위원회 등과 같은 자문 역할을 넘어 구체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위원회는 남북 간- 세대 간 중장기 통합 작업, 통일 여론 수렴, 민간 교류 사업도 담당하며, 이를 위한 분야별 전문위원회도 설치될 전망이다.
이 때문에 통일부와 대통령 자문기구인 민주평통, 민간기구인 민화협을 모두 아우르는 명실상부한 통일정책 컨트롤타워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통일부 역할이 축소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통일준비위원회가 국민적 통일 논의를 수렴하고 통합을 통해 통일 정책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통일부는 통일 정책의 주무 부처로서 국정운영의 핵심 과제인 한반도 통일시대 기반 구축을 앞으로도 변함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