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거래소 길들이기? 증권사 사장 "주주협 구성 지시받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4-16 16:5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지나 기자 = 금융위원회가 한국거래소 지분을 가진 삼성증권, KDB대우증권, 우리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을 비롯한 회원사를 상대로 주주협의회를 만들어 거래소를 견제하도록 지시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16일 A증권 B사장은 이처럼 밝힌 뒤 "거래소가 최근 금융위 말을 무시한 채 독자적인 행보를 보이자, 회원사를 앞세워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도록 한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증권사 및 선물사 사장단은 전월 28일 금융투자협회에 모여 거래소 주주협의회를 만들었다. 당시 금투협 모임에서는 협의회 대표로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사장이 추대됐다.

업계는 협의회 구성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거래소 측 결정이나 통보에 반기를 드는 첫 사례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거래소는 최경수 이사장 취임 이래 금융위와 갈등을 빚어 온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는 연초 거래소 측에서 사전조율 없이 주식시장 거래시간 연장안을 발표하는 바람에 난색을 표하기도 했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금융위가 협의회 구성을 요구했더라도 참여업체 사장단을 빼면 알 수 없는 사항"이라며 "회사 차원에서는 파악하고 있는 바가 없다"고 말했다.

주주협의회를 둘러싼 주장이 사실일 경우 관치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금융위가 공개적으로는 영업용순자본비율(NCR) 규제 완화를 비롯해 업계 자율을 강화하는 정책을 내놓으면서, 뒤에서는 관치를 놓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NCR뿐 아니라 금융위는 기업공개(IPO) 요건도 완화하면서 코스피와 코스닥, 코넥스 상장 및 이전상장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관련제도를 바꾸기로 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금융위가 최근 친시장적인 얼굴을 보여주고 있지만, 여전히 증권 유관기관 수장이나 주요 증권사 임원으로 낙하산을 내려보내는 것을 비롯, 관치를 못 버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당국 쪽은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협의회는 증권사끼리 자발적으로 만든 것"이라며 "금융위와는 전혀 상관 없는 일"이라고 답했다.

금융위 이명순 과장은 "금융위가 거래소에 불만이 있으면 곧바로 거래소에 요구한다"며 "금융위가 협의회 구성을 요구했다는 얘기는 금시초문"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