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성에너지(주)가 대구 달성1차산단에 열병합발전소 건립에 나서자 달성군 논공읍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지난 17일 열린 주민설명회 모습]
아주경제 김병진 기자 =달성에너지(주)가 대구 달성1차산업단지에 열병합발전소 건립에 나서자 주민들이 생활 환경오염 우려 등을 들어 반발하고 있다.
25일 달성군 등에 따르면 (주)대경에너텍이 사업 추진을 위해 설립한 달성에너지(주)가 2011년 9월 용지를 확보, 지난해 10월 대구 달성군 논공읍 본리리 구 달성정수장 부지에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집단에너지(열병합발전소) 사업계획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다.
2016년 6월 상업운전에 들어갈 예정인 열병합발전소에서 생산하는 열과 전기는 달성1차산단내 한국델파이(주), (주)이수페타시스, (주)파브코, 동아제약(주) 등 11개 업체에 공급하고 남는 전기는 한국전력공사에 되파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초 집단에너지사업법 시행규칙에 따라 이해 당사자의 의견청취를 위한 공문을 대구시와 달성군에 시달했다.
하지만 논공지역 분위기는 싸늘하기만 하다.
열병합발전소에 사용되는 주 연료가 목재를 가공한 우드칩(Bio-SRF)이나 RFP(페플라스틱 고형연료)로 알려져 타 지역으로부터 폐합성수지, 폐고무, 폐수지, 폐타이어 등 폐자재 반입이 예상되면서 이 지역 주민들은 집단행동에 나설 움직임마저 보이고 있다.
김성택 달성군의원은 "열병합발전소 건립 계획은 당장 취소돼야 한다"며 "업체가 주민들 동의를 얻기 위해 극소수 일부 노인들을 상대로 설명회를 개최, 이를 마치 다수의 동의를 구한 것처럼 술수를 쓰고 있다. 대다수 주민들 뜻이 무엇인지 직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관련, 고재학 달성에너지(주) 전무이사는 "열병합발전소 건설 용량이 적어 주민설명회 대상은 아니지만 주민들 건강 및 염려 차원에서 최근 설명회를 열었던 것"이라며 "현재 대구시로 부터 열 사업은 허가를 받은 상태로, 효율 극대화 차원에서 전기 사업까지 추가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열병합발전소를 많이 건설했다"며 "발전소가 문제 시설이 아니라는 것을 주민들에게 명쾌하게 설명하는 등 적극적인 소통에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달성군 관계자는 "원칙적으로 열병합발전소 건립에는 반대한다"며 "하지만 주민들 의견을 듣겠다. 이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세심히 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