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정민식 공정위 서비스업감시과 조사관]
정민식 조사관은 SAP의 국내 법인인 SAP코리아의 동의의결제를 적용, 문제가 되는 기업정책을 변경하고 경쟁질서를 회복한 공로다.
동의의결제란 불공정혐의 사업자가 피해구제 등 타당한 시정방안을 제안하면 이해관계자 등의 의견수렴 후 타당성 여부를 따져 실질적인 피해구제를 할 수 있는 제도다. 다만 법 위반 혐의 사항에 대한 정식 사건처리 절차를 거치지 않고 종결된다.
독일 SAP의 한국법인인 SAP코리아는 지난해 11월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거래상 지위남용 혐의로 조사를 받아왔다. 그러던 중 SAP가 동의의결을 신청, 지난 10월 공정위로부터 최종 수용인 인정됐다.
SAP코리아의 동의의결 이행안은 SAP코리아가 고객사 계약 부분 해지를 허용하고 구매자들의 유지보수 문제 해결 등 시정안이 담겼다. 또 공익법인 설립 등 188억원 규모의 상생 방안도 구성돼 있다.
구체적인 상생안은 빅데이터 기반 조성 등 공익법인 사업 수행을 위한 158억여원의 현물(소프트웨어)과 3억원의 현금 출연이다. 이 밖에도 이해관계자 등 후생제고를 위한 현금 및 현물 26억원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결정은 한국 공정위의 동의의결로 인해 다국적 기업이 자사의 글로벌 정책을 변경하게 된 최초의 사례라며 이번 동의의결이 미래 유망 분야인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 관련 전문인력 양성 등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게 공정위 측의 설명이다. 정민식 조사관은 “앞으로 동의의결이 차질 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소감을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