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업 中企, ‘불공정 계약관행’ 가장 큰 애로…관련 포럼 개최

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중소기업중앙회가 전국 이벤트업종 2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이벤트산업 발전을 위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벤트업 중소기업은 ‘불공정한 계약관행(적정 대행료 및 기획료 부재)’을 가장 큰 경영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또한 ‘입찰에서 과도한 자료요구 등 비용 부담’(37.5%)과 ‘불합리한 입찰(심사) 기준(대형사 위주 입찰 및 하청구조 등)’(31%)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이벤트업종 중소기업의 고용창출 현황, 업계 애로사항 등 경영실태 파악을 통해 이벤트산업에 대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시됐다.

이벤트업 중소기업의 연평균 매출액은 약 22억5000만원이며, 연평균 고용인원은 17.7명(정규직 4명, 비정규직 13.7명), 연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은 평균 34.3%였다. 국내 이벤트업체의 수가 약 3000개임을 감안하면 이벤트산업에서 연간 약 5만3100명의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벤트업 중소기업들은 이벤트산업의 가장 중요한 경제효과로 ‘지역경제 활성화’(44.5%)라고 응답했으며 ‘타 산업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33.5%), ‘고용창출 효과’(17%)를 낼 것으로 예상했다.

이벤트산업 발전을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과제로 ‘정부(또는 지자체)의 축제ㆍ행사 예산 확대’(65%)를 요구했으며, 향후 가장 역량을 집중해야 할 분야로 ‘콘텐츠 개발(아이디어 포함)’(36%)을 꼽았다.

박성택 중기중앙회장은 “이벤트산업의 획기적 발전을 위해서는 업계의 고질적이고 불합리한 관행 개선과 정부 지원제도의 마련이 시급하다”며 “이벤트업계 자체의 노력과 함께 정부도 대형 기획사 위주의 입찰조건 개선, 제출한 기획서의 저작권 보호 등 제도개선과 이벤트산업발전법입법을 통해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중기중앙회와 콘텐츠산업위원회(위원장 이창의)는 한국이벤트산업단체협의회(회장 엄상용) 주관으로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2015 대한민국 이벤트산업 FORUM’을 개최했다.

‘청년고용창출, 이벤트산업 활성화를 통해 해결합니다’라는 주제로 학계, 정부, 이벤트업체 대표 및 임직원 등 200여명이 참석한 이번 포럼은 최기성 한국고용정보원 박사(이벤트산업의 고용현황과 고용창출 효과), 이영욱 법무법인 감우 변호사(행사대행계약에서 사후정산의 여러 문제), 김정진 ㈜매크로메트릭스 대표(이벤트산업발전법의 필요성 및 내용)의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포럼은 이훈 한양대 교수의 진행으로 정부(서울지방조달청 장경순 청장), 업계(심재길 한국이벤트산업협동조합 대표, 조정환 한국이벤트협회장, 신창렬 한국이벤트프로모션협회 소장), 김경만 중기중앙회 산업지원본부장이 패널로 참여해 ‘이벤트산업발전법’의 필요성과 이벤트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했다.

[사진=중기중앙회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