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국토교통부는 다음 달부터 건축·주택 인허가 및 건축물 현황(건축통계)을 제공한다고 15일 밝혔다. 민간이 필요로 하는 학술 연구 및 사업 타당성 분석 등 기존에 없던 고도화되고 다양한 맞춤형 건축통계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 건축통계는 통계청이 승인한 내용에 한해 국토교통통계누리와 통계청을 통해 제공돼 왔다.
그러나 맞춤형 통계에서는 총 주택 수 수준으로 제공되던 기존 서울시 공동주택 현황 통계가 서울시 영등포구 신길1~7동의 공동주택(아파트, 연립, 다세대), 30년 이상, 대지면적 1000㎡ 이상 등으로 세분화된다.
국토부는 맞춤형 통계의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의 대학교(건축학과 등)와 건축학회 등 관련기관에 공문을 보내 학술 연구에 필요한 건축통계 서비스 사실을 알렸다고 설명했다.
일반 국민에게는 국토부가 운영하는 세움터,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 및 건축물정보 민간개방시스템 등 건축관련 인터넷 방문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홍보를 실시하고 있다.
국민이 요구하는 맞춤형 건축통계는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하다. 국토부는 전달 신청한 내용에 대해 신청인과 협의를 거쳐 매월 15일까지 월 30여개씩 제공할 계획이다. 즉 이달 말까지 신청한 통계는 다음 달 15일 이전에 제공된다. 이후에는 통계의 요구량 추이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자세한 내용은은 국토부 녹색건축과 또는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 콜센터를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국토부는 지난해 2월 정부기관 최초로 2억8000건의 건축물 정보를 전면 개방했으며 11월에는 건축물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6종 59개의 오픈 API 서비스를 실시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