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독자제재 대상에 오르면 미국 내 자산이 동결되고 미국인 및 미국 기업과 이들 간의 거래가 금지된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번 제재 대상에는 대량파괴무기 확산자와 그 지원자, 북한 정부와 그 지원자, 북한의 금속, 흑연, 석탄, 소프트웨어 무역, 교통, 광업, 에너지, 금융업 관련 업체와 해외에 북한 근로자 수출 관련 업체까지 포함했다.
특히 북한의 대량파괴무기 및 국외노동력 운송 수단이라는 의혹을 받아온 고려항공이 이번 제재대상에 포함되었다. 노동력 송출과 관련해 고려항공 이외에 북한능라도무역회사, 대외건설지도국, 남강건설, 만수대창작사가 포함됐다.
또 석탄 에너지 수출과 관련해 강봉무역, 대원무역회사, 원유수출과 관련해 원유개발총회사이 , 금융기관으로는 동북아은행, 라선국제상업은행, 금강은행, 고려은행, 고려신용개발은행 등이 제재명단에 올랐다.
제재 대상에 포함된 개인 7명은 장창하 제2자연과학원 원장, 장경하 제2경제위원회 관계자, 조춘룡 제2경제위원장, 조선금산무역회사의 김철남, 원자력개발총국의 김세곤, 박한세 제2경제위원회 부위원장, 조선광업개발회사(KOMID) 관련 활동자인 파키스탄 국적의 후세인 마분갈 등이다.
아담 주빈 테러·금융정보 담당 차관대행은 이날 보도자료에서 “미국 재무부는 모든 금융 수단을 계속 동원해 북한 정부와 북한의 핵 야망과 대량파괴무기 개발 프로그램을 지지하는 사람들에 대한 압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