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현대해상교통기후환경연구소가 최근 5년치 빅데이터 교통사고 466만9198건 가운데 불법주정차 연계형 사고 11만4968건을 분석한 결과다.
조사결과 2011년 이후 불법주정차 관련 사고건수는 연평균 22.8%, 지급보험금은 연평균 27.7% 증가했으며, 특히 2011년 사고건수(1만5011건) 대비 작년 사고건수(3만4145건)는 2.3배나 급증했다.
서울시 25개구의 사고율과 지역별 도시교통 특성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상업ㆍ업무지역 주차장 확보율, Km 당 교차로 수가 증가하면 불법주정차 연계형 사고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강남구의 경우 상업ㆍ업무지역 주차장확보율이 155.5%로 가장 높았으나, 주차요금이 상대적으로 비싼 지역(1급지)으로 주차장보다 상업ㆍ업무 주변 이면도로에 주차하는 경향이 강해 사고율이 서울 평균대비 1.4배 높았다.
공업지역이 존재하는 7개구(강서, 구로, 금천, 영등포, 도봉, 성동, 양천구)는 중차량(건설기계, 화물, 특수차) 사고가 전체사고 중 23.5%를 차지해 사고당 지급보험금이 서울평균 대비 1.4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불법주정차의 시간대별 발생빈도는 비공업지역이 오후 14시~18시에 39.5%로 집중되고, 공업지역이 20시~24시 35.7% 집중했다.
특히, 야간사고(18~6시) 구성비는 비공업지역(32.2%) 대비 공업지역(41.2 %)이 8.9%p 높았다. 이는 공업지역 내부 주차장 확보율이 낮아 야간 주거지역 이면도로 주차가 증가하기 때문이라는 게 연구소 설며이다.
김태호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박사는 “불법주정차 사고규모 추정을 통한 진단이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불법주정차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 대한 지역별 과태료 차등화 방안 도입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공업지역이 인접한 주거지역의 야간사고가 집중되는 오후 20시이후 건설기계 중차량 주차가 가능한 지역을 지정해 주는 양성화 정책 및 차량종류별 주차면 확보를 현실화 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