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첫 회의가 열린 이후 처음…펜스 부통령·시진핑 국가주석, APEC서 무역정책 놓고 설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마지막날인 18일 개최지 파푸아뉴기니의 포트모레스비에서 문재인 대통령(뒷줄 오른쪽 3번째),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앞줄 왼쪽),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3번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5번째),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앞줄 오른쪽 4번째), " ,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앞줄 오른쪽) 등 참석 정상 등이 손을 들며 기념촬영하고 있다.[연합]
18일 AP·AFP·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 정상들이 공동성명을 채택하는데 실패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신보도에 따르면, 각국 정상들은 공동성명 대신 의장성명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에는 APEC 마지막 날에 공동성명을 발표해 왔다.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 정상들이 공동성명을 채택하지 못한 것은 1993년 첫 회의가 열린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미국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중국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APEC 무대에서 무역정책을 놓고 설전을 주고받으며, 정면충돌한 사건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17일 열린 APEC 최고경영자(CEO) 포럼에서 시 주석과 펜스 부통령은 가시 돋친 설전을 벌였다.
시 주석은 '미국 우선주의'로 대표되는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에 일침을 가했고, 펜스 부통령은 중국의 지식재산권 '절취'와 국영기업에 대한 보조금 지급 등을 비난하면서 중국에 추가 관세를 물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펜스 부통령은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해서도 중국의 차관을 받은 국가들이 빚더미에 앉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주석은 일대일로가 패권추구가 아니며, 상대국이 빚더미에 앉지도 않는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