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8일 오전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주재로 KB국민은행 노조 파업과 관련한 '확대 위기관리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김 부위원장은 "오늘 노사 간 타협이 이뤄지지 않고 결국 국민들의 불편을 초래하는 파업까지 이르게 된 점이 안타깝다"며 "파업은 고객들의 금융거래에 불편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은행의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그동안 쌓아온 은행의 신뢰와 평판이 훼손돼 궁극적으로 주주와 경영진, 근로자 모두에게 손실을 초래한다는 점을 노사가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부위원장은 "일반기업과 달리 은행은 경제활동을 매개하는 국민경제의 핵심 인프라라는 측면에서 개인의 금융거래와 기업의 영업활동에 미치는 파급효과까지 고려한다면 은행의 파업은 국가적 손실도 큰 사안"이라며 "특히 국민은행은 고객 수나 자산규모 면에서 국내 최대 은행이므로 그만큼 영향도 크다는 점에서 더욱 유감스럽다"고 언급했다.
금융당국 위기대응반은 국민은행이 파업에 돌입한 만큼 고객 불편 최소화와 금융시스템 안정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이행할 방침이다.
그간 금융당국은 파업에 대비해 금융위 은행과장을 중심으로 한 '위기상황대응반'을 운영, 국민은행의 비상대응계획이 제대로 수립됐는지 점검했다.
파업 당일인 오늘은 대응반을 금융위 금융산업국장이 의장을 맡는 '위기관리협의회'로 격상해 운영하고 있다.
김 부위원장은 "위기대응반은 위기대응매뉴얼에 따라 파업 진행 및 영업상황, 고객 불편 등 상황을 모니터링해 즉각 대응해달라"며 "또 오늘 현장에 나가있는 금감원 상황반은 국민은행 측과 협조를 통해 비상상황 발생 시 즉시대응이 가능하도록 관리를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그는 "최근에는 비대면거래가 90% 이상인 만큼 국민은행의 전산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전산센터 방호대책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국민은행에도 비상대응계획에 따른 적기 대응과 고객에게 충분한 설명·양해를 구할 것을 당부했다.
김 부위원장은 "인터넷 및 모바일뱅킹 운영상황, 지점 운영상황, 제한되는 서비스의 범위 등에 대해 고객 접점인 인터넷과 모바일 앱, 영업점을 통해 신속히 안내하라"며 "긴급한 자금 수요가 있는 기업과 상공인에게는 금융서비스가 차질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금융당국은 추가적인 고객 불편사항이나 금융시장 불안정 요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황을 계속 모니터링하며 필요한 대응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