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이하 4차위)는 4일 서울 광화문 회의실에서 제12차 회의를 개최하고, ‘4차 산업혁명 스마트 국방혁신 추진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4차 산업혁명 스마트 국방혁신 추진계획’은 ‘국방개혁2.0’의 일환으로서 4차 산업혁명 첨단과학기술을 국방 전 분야에 적용, 스마트하고 강한 군대를 건설하기 위해 마련된 계획이다.
장병규 4차위원장은 이날 모두 발언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스마트 국방혁신 추진계획은 저출산에 따른 병역자원 감소, 한정된 재원 등 도전적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국방운영 혁신’ 분야에선, ‘총생애주기(Total Life Cycle)' 관리 개념을 국방운영의 핵심요소인 장병과 국방자원에 적용하고 장병들의 교육훈련 강화 및 안전·복지 증진, 국방자원 관리 효율성의 극대화에 중점을 두고 추진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VR‧AR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과학화 훈련체계를 구축, 실기동 등 현장훈련과 병행하는 ’상시 실전형 훈련‘을 실시해 나간다. 또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장병 복지와 생활에 밀접한 안전, 의료, 급식·피복 등에 적용해 나간다. 3D프린팅, 군수품 수송용 드론 등도 시범 적용하고, 전투원의 전투력 향상을 위한 난방탄소재, 통합에너지원 개발도 가속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기술·기반 혁신’ 분야에선, 초연결 네트워크 구축, 사이버위협 대응체계 구축 등 실행력 제고와 추진력 확보를 위한 기반 인프라 조성을 중점으로 추진한다. 모든 국방자원을 연결할 수 있는 초연결 네트워크를 구축국방 내 모바일 기기 활용 소요 증가에 대응하고 모바일 기반 최적의 업무 환경을 제공한다.
‘전력체계 혁신’ 분야에선, 미래 합동작전개념에 부합된 군사력 건설을 위해 현재의 전력 증강 프로세스 기반 하에 급격한 과학기술의 발전 속도를 수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미래 전장 환경에 부합된 핵심기술과 요구되는 군사능력을 식별하고 군사능력을 구현할 핵심전력을 선정, 세부 계획을 수립중이다.
장병규 위원장은 “AI를 비롯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이 국방 임무 수행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며 “민간의 우수한 기술과 경험을 활용하고 관계 부처와도 원활히 협업, 국방력을 한 단계 도약시켜 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위원회에서는 국방혁신 이외에 그동안 심의‧의결한 총 18개 안건에 대한 추진현황을 점검했다.

[4차취 로고]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