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존처리를 마친 단령 [국립민속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해외 박물관에 소장된 우리 문화재를 국내로 들여와 보존처리를 마치고 최초로 공개하는 전시를 30일부터 내년 1월 27일까지 국립민속박물관 ‘새로운 자료와 보존처리’ 코너에서 열어 110년전 혼례복인 단령을 공개했다.
이번에 전시되는 유물은 1909년 도미니쿠스 엔스호프(1868∼1939) 신부에 의해 수집된 것으로, 오틸리엔수도원의 총아빠스(수도원장) 노르베르트 베버(1870∼1956)가 1925년 한국 체류 당시 연출·제작한 무성기록영화 ‘한국의 결혼식’에 등장하는 신랑이 입었던 단령이다. 이 단령은 1909년에 수집했으나 독일에는 1925년 건너간 것으로 추정된다. 20분 분량의 영상을 통해 당시 혼례 장면을 그대로 볼 수 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2016년 실태조사를 통해 상트 오틸리엔수도원 선교박물관에 무성기록영화에 등장하는 신랑·신부의 혼례복이 소장된 것을 파악한 가운데 신랑의 단령이 장기간 전시하면서 박물관의 수장고 시설이 열악하고 일부분의 직물이 바스라질 정도로 손상이 심해 보존처리가 시급한 상태였다.
이 단령은 내년 3월 독일로 돌아갈 예정이다.
이번 작업은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미르치과 네트워크 후원금으로 재료를 지원하고 박물관이 보존처리 작업을 담당하는 등 협업으로 진행했다.
단령 보존처리를 통해 밝혀진 내용은 내달 발간 예정인 ‘독일 상트 오틸리엔수도원 선교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게재한다.
국립민속박물관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앞으로도 해외박물관 수장고에 있는 우리 문화재가 전 세계 관람객을 만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