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 회장은 이날 일본 도쿄 경단련 회관에서 열린 한일재계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이 같이 밝혔다. 허 회장은 "다만 강제 징용 문제는 가급적 언급을 안했다"며 "정치적인 사안이기 때문에 재계가 왈가왈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양국 경제인들은 14일부터 이날까지 진행된 회의를 통해 신성장산업 육성 추진과 무역분야 협력, 도쿄 올림픽 기간 한일 인적교류 등을 논의했다.
허 회장은 "한일 재계가 양국 갈등이 글로벌 가치체계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공유했다"며 "민간교류의 중요성에 공감하고 무역 갈등의 조기 해결(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을 같이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양국이 함께 자유시장 경제와 민주주의를 지켜나가기로 했고, 아시아 역내 국제질서 유지를 위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에도 의견을 모았다"며 "또한 양국 간 경제 연계성 강화와 혁신에 대한 제안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전경련과 경단련은 한일재계회의를 통해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양 단체는 "어떤 정치·외교 관계 아래에서도 민간교류를 계속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화를 통해 양국 경제·산업 협력 관계를 한층 확대·심화시켜 아시아 및 세계 경제의 발전에도 기여해나갈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앞줄 왼쪽부터 우오현 SM그룹 회장, 박영주 이건산업 회장,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허창수 전경련 회장, 나카니시 히로아키 경단련 회장, 코가 노부유키 경단련 심의원회 의장(노무라홀딩스 회장), 야마니시 켄이치로 미쓰비씨전기 특별고문, 도쿠라 마사카츠 스미토모화학 회장, 사토 야스히로 미즈호금융그룹 회장, 코쿠부 후미야 마루베니 회장 뒷줄 무쿠타 일본경단련 전무, 배상근 전경련 전무,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류진 풍산 회장, 이어룡 대신금융그룹 회장, 임영진 신한카드 사장, 장용호 SK머티리얼즈 사장, 장희구 코오롱인더스트리 사장, 류두형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사장, 구보타 마사카즈 경단련 사무총장 [사진 = 전국경제인연합회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