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8일 "투자·내수·수출 등 전 분야를 망라해 조속히 효과를 낼 수 있는 정책을 시행해 신속한 경기반등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에서 열린 '2020년 경제정책방향 수립을 위한 현장 소통간담회' 자리에서 "최근 우리를 둘러싼 경제 여건은 경기리스크와 구조변화라는 핵심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내년은 우리 경제가 성장경로로 회복하느냐 못 하느냐, 확대균형으로 나가느냐, 축소균형으로 주저앉느냐 갈림길이 될 수 있다"며 "함께 잘사는 경제 사회를 위한 '혁신적 포용국가' 목표는 꼭 이뤄나가야 할 지향점"이라고 강조했다.
다음 달 하순 발표 예정인 내년 '경제정책방향'에는 △단기적인 경기반등 모멘텀 마련 △중기적 관점에서 5대 분야(4+1) 구조개혁 과제 구체화 △포용성장 기반 강화 등 3가지 중점 포인트를 담을 것이라고 했다.
5대 분야 구조개혁 과제로는 산업혁신, 노동혁신, 공공개혁, 인구 등의 구조변수 대응과 규제 혁파와 사회적 자본 축적 등의 인프라 개혁을 꼽았다.
홍 부총리는 "함께 잘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우리 경제사회 전반의 포용성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며 정부의 혁신적 포용국가 비전에 힘을 실었다.
그는 "최근 고용·분배상황 개선 흐름이 내년에도 확산하고 이어지도록 경기변동에 민감한 취약계층 지원하고, 구조개혁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각지대 보강 등 포용성장 기반을 보다 촘촘히 강화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각 부처에 "정책의 방향성 제시에 그치기보다는 손에 잡히는 과제로 제시하고 정책 과제를 구체화해야 한다"며 "공정과 상생 가치를 경제정책에도 잘 접목하고 체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에서 열린 '2020년 경제정책방향 수립을 위한 현장 소통간담회' 자리에서 "최근 우리를 둘러싼 경제 여건은 경기리스크와 구조변화라는 핵심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내년은 우리 경제가 성장경로로 회복하느냐 못 하느냐, 확대균형으로 나가느냐, 축소균형으로 주저앉느냐 갈림길이 될 수 있다"며 "함께 잘사는 경제 사회를 위한 '혁신적 포용국가' 목표는 꼭 이뤄나가야 할 지향점"이라고 강조했다.
다음 달 하순 발표 예정인 내년 '경제정책방향'에는 △단기적인 경기반등 모멘텀 마련 △중기적 관점에서 5대 분야(4+1) 구조개혁 과제 구체화 △포용성장 기반 강화 등 3가지 중점 포인트를 담을 것이라고 했다.
홍 부총리는 "함께 잘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우리 경제사회 전반의 포용성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며 정부의 혁신적 포용국가 비전에 힘을 실었다.
그는 "최근 고용·분배상황 개선 흐름이 내년에도 확산하고 이어지도록 경기변동에 민감한 취약계층 지원하고, 구조개혁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각지대 보강 등 포용성장 기반을 보다 촘촘히 강화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각 부처에 "정책의 방향성 제시에 그치기보다는 손에 잡히는 과제로 제시하고 정책 과제를 구체화해야 한다"며 "공정과 상생 가치를 경제정책에도 잘 접목하고 체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