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숙박 할인쿠폰' 100만장 발행사업이 딱 여기에 비유될 만하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코로나19 여파에 위축된 소비심리를 깨우고, 위기를 겪는 업계를 살린다는 취지를 갖고 8월 중순께 국내 온라인 여행사(OTA)를 통해 숙박 할인쿠폰 100만장을 방출했다. 하지만 며칠 지나지 않아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속출했고, 사회적 거리 두기가 격상하면서 결국 중단했다.
이후 세 달여의 시간이 지나고 확진자 수는 주춤해졌고, 문체부와 관광공사는 멈췄던 소비 할인쿠폰 사업을 재개했다. 재개 시기는 이달 4일. 하지만 이 무슨 운명의 장난인 걸까. 또다시 코로나19 감염자가 급증하기 시작했고, 정부는 이번에도 결국 숙박 할인쿠폰을 비롯해 여행상품 선할인 지원, 근로자휴가지원 사업을 연이어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언론에서는 "코로나19가 3차 대유행으로 번졌지만, 숙박 할인쿠폰이 코로나19에 악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부정 여론이 끓고 있다, 이미 8월에 한 차례 경험을 통해 숙박 할인쿠폰의 문제를 인지했음에도 재발급을 강행해 위험을 키웠다는 지적이 인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역학적인 인과관계가 검증되지 않은 주장"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운 관광업계에 더 큰 피해를 줄 뿐 아니라 국민에게도 막연한 불안감을 조성할 우려가 있다"고 반박하고 나섰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살펴보자. 과연 지급된 숙박 할인쿠폰 사용이 코로나19 확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걸까.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인과관계를 설명하기 어렵다.
현재까지 관광 숙박시설 내 연쇄 감염 사례는 없었던 것으로 안다. 특히 숙박 할인권 이용자들의 시설 내 감염 여부도 파악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치 숙박 할인권이 코로나19의 확산 원인이 된 것처럼 보도하는 것은 억측일 뿐이다. 굳이 지적하고자 한다면 정부가 코로나19가 끝나지 않은 시점인 8월 중순과 11월 초, 굳이 소비 할인권을 푼다고 밝힌 것이 옳은 행위인지, 행위 자체를 지적하는 것이 더 맞는 보도가 아닐까.
이마저도 지적할 사안은 아니다. 정부를 두둔하려는 것은 결코 아니다. 다만 코로나19 여파에 여행·호텔업계는 벼랑 끝에 몰렸을 정도로 심각한 타격을 입었고, 국민 다수도 '코로나 우울'에 시달릴 정도로 여행에 대한 욕구는 점점 커져만 가는 시기였던 만큼, 문체부와 관광공사, 업계가 고심 끝에 내놓은 대책이 잘못됐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단 얘기다.
예민한 시기이다. 원인과 결과가 명확하게 검증되지 않는 비판 보도는 국민의 불안감만 키울 뿐이라는 것을 알고 조금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은 어떨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