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AP·연합뉴스]
CNN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부양책의 규모가 2조 달러(2203조40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13일 전했다.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상원 다수당 원내대표가 되는 민주당 척 슈머 상원의원이 경기 부양안 공개를 앞두고 바이든 당선인과 부양안 규모 등을 조율했다고 전했다. 슈머 의원은 바이든 당선인에게 부양안 규모를 1조3000억 달러 이상으로 책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CNN의 보도대로라면 바이든 당선인이 내놓을 부양책은 슈머 의원 요구안보다도 무려 7000억 달러나 많은 규모다.
앞서 미 의회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지난달에도 9000억 달러(약 987조원) 규모의 경기 부양책을 통과시켰다. 여기에 바이든 정부의 2조 달러 규모 부양책도 더해지면 향후 총 3조 달러가 추가로 풀리는 셈이다.
새로 들어서는 정부가 내놓은 거대 부양책과 백신 확산이 속도를 내면서 미국 경제회복에도 더욱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대규모 부양책에 안 그래도 악화한 미국의 재정 상황이 더 큰 부담을 지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 정부의 재정적자는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간 5729억 달러(약 628조5000억원)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61%나 늘어난 것이다. 매년 10월부터 시작되는 미국 회계연도상 1분기 역사상 최대 적자라고 외신은 전했다.
재정적자는 달러 약세도 가속화할 수 있어, 향후 금융시장이 다소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바이든 당선인은 국가의 재정 적자와 탄핵 정국이라는 두 가지 부담을 뚫고 부양책 통과를 위한 초당적 지지를 끌어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