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 한 휴대전화 판매 상가. [사진=차현아 기자]
26일 이동통신 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일부 스마트폰 판매 대리점에서 갤럭시S21에 대해 불법보조금을 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갤럭시S21의 실거래가가 10만원대까지 떨어진 상황이다.
현재 단말기 가격이 99만9000원인 갤럭시S21에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하는 공시지원금은 최대 50만원이다. 여기에 유통 판매점이 지급하는 추가지원금 15%인 7만5000원을 더하면 법적으로 가능한 실구매가는 최저 42만원이다.
일부 판매 대리점은 여기에 추가로 보조금을 불법으로 지급해 판매량 늘리기에 나선 상황이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갤럭시S21을 각종 보조금 지원을 받고 10만원대에 구매했다는 후기도 올라오고 있다.

한 판매자가 카카오톡 메시지로 보낸 스마트폰 판매 정보. 컴퓨터 키보드 자판의 특수문자를 활용한 암호로 판매가격을 공지한다. 예를 들어 !)은 숫자 10을 뜻한다. [사진=카카오톡 메시지 갈무리]
또한 방통위도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지만 전체적으로 시장과열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고낙준 방통위 단말기유통조사담당관은 "월말 실적을 채우기 위해 출혈경쟁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극히 일부 사례"라며 "갤럭시S21을 10만원 대에 판매한다는 홍보글도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과장광고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단말기유통법 개정을 통해 추가지원금을 현행 15%에서 최대 50%까지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추가지원금 기준을 높여 음성적으로 흘러들어가는 불법보조금은 줄이면서도 유통 사업자의 자율성을 높여 이용자 혜택을 늘리겠다는 취지다. 다만 판매점 별 지원금에 차등이 생기면 이용자 간 차별이 발생할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