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7일 용인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열린 ‘용인 국가산단 성공 추진을 위한 엽무협약식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김 지사는 이날 용인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용인 국가산단 성공 추진을 위한 상생협약’을 체결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우리나라 시스템반도체에서 부족한 부분이 팹리스다. 경기도가 제3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팹리스 집적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그렇게 되면 시스템반도체의 경쟁력 확보에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면서 “그곳에 팹리스와 관련된 벤처나 스타트업 기업을 유치해 반도체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3판교 이외에도 경기도 여러 곳에서 이런 팹리스 및 전후방 산업 집적단지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도는 국내 팹리스 기업 144개 사 가운데 51%가 도내에 위치하고 있어 제3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팹리스 산업을 집중 유치하면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과 시너지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 지사는 이 밖에도 원활한 국가산단 조성을 위해 용수나 전력 등 기반 시설 설치 시 최선을 다해 기초자치단체 간 현안 조정 역할을 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어 인력 양성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사진=경기도]
회의 이후에는 국토부, 용인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삼성전자와 ‘용인 국가산단 성공 추진을 위한 상생협약’을 체결하고 신속한 예비타당성조사와 수요 맞춤 산단 조성에 노력하기로 했다.
정부는 지난 3월 용인시 처인구 남사·이동읍 710만㎡ 부지를 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했다.
삼성전자는 오는 2042년까지 300조 원을 투자해 세계 최대 규모의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이곳에 구축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