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권이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인해 경영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중소기업·소상공인을 위한 금융지원에 나선다.
신한금융그룹은 7일 국내 수출기업을 포함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에 대한 10조5000억원 규모의 선제적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금융부담 완화를 위한 기업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통해 6조4000억원을 지원한다.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3조원 규모의 특별 금리 인하 쿠폰을 지급해 국내 산업 지원을 도모한다. 소상공인 신규 대출 지원을 위한 신용보증재단 특별출연을 통해 5000억원을 지원하고, 수출기업 등 중소기업 신규 대출 지원을 위해 신용보증기금 특별출연을 통해 60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KB금융그룹은 주요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을 통해 총 8조원 규모의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들의 금리 부담 완화를 위해 '영업점 전결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기존 1조5000억원에서 3조원으로 늘리고, 국가 주력전략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 등을 위한 '한시 특별 금리우대 프로그램'도 3조원에서 5조원으로 확대한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 총 230억원을 특별출연해 8400억원 규모의 보증서를 공급함으로써 제조업체, 수출업체 등에 대한 금융 지원도 강화한다. 담보력과 신용도가 취약한 혁신성장기업, 수출기업 등은 3년간 보증비율 100% 우대 협약보증서를 발급받거나 최대 1.5%포인트 이내의 보증료를 지원받을 수 있다.
우리금융그룹은 '상호관세 피해 지원TF 회의'를 개최하고 관세 충격이 큰 수출입기업을 최우선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TF 주요 과제로는 △수출입 기업 등 상호관세 충격이 큰 업종·기업의 애로 파악 및 지원 대책 수립 △해외 법인, 지점 등 그룹 글로벌 부문에 미치는 영향과 리스크 관리 대책 수립 △환율 급변에 따른 외환 수급 문제 점검과 대책 수립 △디도스 공격 대비 등 IT 보안 강화 방안 등을 논의하고 빠른 시일 내에 개별 고객의 니즈에 맞춰 실효성 있는 지원 대책을 수립, 현장에 적용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3일에는 하나금융그룹이 주요 관계사인 하나은행을 통해 총 6조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키로 했다. 현재 운영 중인 '주거래 우대 장기대출'의 3조원 증액에 더해 3조원 규모의 '금리우대 대출'을 신규로 추가 지원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