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 AI로 신약개발 재편… 관건은 '활용력' 복잡하고 긴 신약개발 과정에서 인공지능(AI)이 불확실성을 줄이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후보물질을 발굴하기까지 수십억 건의 화합물 구조와 데이터를 검토해야 하는 만큼, 부작용을 사전에 예측하는 역할도 할 수 있어서다. 29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 따르면 글로벌 AI 신약개발 시장 규모는 2021년 4억 달러에서 2027년 40억 달러까지 커질 전망이다. 신약 하나를 개발하는 데는 평균 10년 이상, 최대 20억 달러가 넘는 비용이 든다. 임상시험 단계 진입 후 성공 확률도 10% 남짓에 그친다. 개인별 약물 반응이 달라지는 희귀질환 영역에서는 실패율이 더 높다. 개발 리스크가 큰 만큼 제약사들은 AI를 신약개발 효율을 높일 대안으로 적극 검토하고 있다. 동아에스티는 서울대 첨단융합학부와 AI 기술을 활용한 신약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서울대는 AI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동아에스티는 이를 자사 데이터에 학습·응용한다. AI 기술이 아직 회사 내부에 완전히 내재화되지 않은 만큼, 이번 협력으로 연구 효율을 높이고 자체 역량을 보완하려는 구상이다.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