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가계대출 초고신용자 40%, 서민금융 '뒷전' 새마을금고에서 신규 취급한 가계대출이 고신용자에 쏠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은행권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자 고신용자 차주가 2금융권으로 이동한 데다가, 새마을금고에서도 건전성 관리를 위해 고위험 차주에 대한 대출을 보수적으로 운용하면서 저신용자 비중이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새마을금고의 대출 구조가 고신용자 중심으로 재편되며,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이 퇴색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말 새마을금고에서 신규 취급한 가계대출 중 KCB 신용점수 951점 이상(1000점 만점) 차주가 차지한 비중은 12.6%(3199억원)였으나 올해 9월 기준 이 비율이 40.8%(1조3437억원)로 3배 이상 늘었다. 새마을금고의 가계대출 구조는 사실상 초고신용자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초고신용자 대출 비중은 2020년 12.6%에서 2021년 29.8%로 증가한 뒤 △2022년 20.4% △2023년 24.3% 수준을 유지하다가, 지난해 말에는 전년(24.3%) 대비 두 배 가까이 늘어난 43%를 기록했다. 반면 800점 이하 차주의 대출 비중은 같은 기간 20.6%에서 9.9%로 급감했다.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