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심리 꺾였지만…'움츠린 수요' 오래 못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두 달 만에 꺾였다. 대출 규제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으로 자금 여력이 부족한 수요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선 영향이다. 하지만 강남권은 여전히 '현금부자' 중심의 수요가 이어지며 지역별 온도차가 뚜렷한 모습이다. 일각에선 정책 충격이 잠시 매수심리를 누를 수 있지만, 집값 하락 국면을 만들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7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10·15 대책 시행으로 부동산 매매 열기가 꺾이기 시작했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10월 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3.2로, 직전 주 대비 2.2포인트(p) 하락했다. 지난 8월 중순(99.1) 이후 처음으로 하락 전환한 것이다.
10·15 대책의 규제지역 확대 시행(16일)에 이어 토허구역 지정(20일)까지 '삼중 규제'가 모두 적용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매매수급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매도세와 매수세 균형을 나타낸다. 100을 넘으면 매수 우위, 밑돌면 매도 우위를 뜻한다.
기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