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대출 전략…은행권, 내년 1월 수수료 재산정에 가산금리까지 '비상'
이른바 '이자 장사'를 펼치던 은행이 더 이상 손쉽게 이자이익을 벌어들이기 어렵게 됐다. 정부 포용금융과 맞물려 대출로 발생하는 비용 중 상당 부분을 오롯이 은행이 떠안으라는 압박이 점차 거세지면서다. 이젠 가산금리 항목까지 통제당할 위기에 놓이며 은행들은 내년도 사업 전략에 비상이 걸렸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내년 중도상환 수수료율을 어떻게 조정할지 내부 검토에 들어갔다. 금융 소비자는 약정 기간 보다 일찍 대출을 갚을 시 수수료를 내야 하는데, 그간 바뀐 실비용을 고려해 내년 수수료율을 재산정하는 것이다. 이는 내년 1월 은행연합회를 통해 공시된다.
이를 두고 은행들은 수수료율을 추가 인하하긴 부담스럽다면서도 내년에 더 내리는 방향을 고민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 취약계층을 강조하는 정부의 포용금융 정책으로 눈치를 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9월에도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예대금리차 확대와 관련해 “금융권이 스스로 고민하고 응답해야 한다”며 포용금융을 강조하자 은행들은 잇따라 수수료율을 내렸다.
기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