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NNA] 中 1~7월 車 수출 20%↑ 중국의 자동차 수출이 올해 들어 중남미·중동·유럽연합(EU) 등 주요 시장에서 크게 늘며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특히 중남미는 최대 수출 비중을 차지했고, 아프리카는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중국자동차업계단체인 전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 추이둥수(崔東樹) 비서장에 따르면, 올해 1~7월 중국의 자동차 수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20% 증가한 약 418만 대였다. 이 가운데 중남미는 22% 늘어난 84만 4000대로 전체의 20.2%를 차지해 최대 시장이 됐다. 중동은 41% 늘어난 74만 대, EU는 38% 늘어난 73만 2025-09-01 12:44
-
[NNA] 대만 J&V, EV 충전사업 진출 대만의 재생에너지 기업이 전기차 충전 사업에 본격 뛰어들었다. 태양광 발전을 주력으로 해온 대만의 ‘J&V 에너지 테크놀로지(雲豹能源科技)’가 연내에 50곳의 충전소 설치를 목표로 내세우며 사업 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J&V 에너지 테크놀로지는 올해 초 전기차 충전 사업을 전담하는 ‘스마트 에너지 운영부’를 신설했다. 회사는 지역 내 주차장과 중소기업이 독자적으로 충전소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자오슈민(趙書閔) J&V 에너지 테크놀로지 총경리는 실적설명회에서 2025-09-01 11:25
-
[NNA] JNTO, 말레이시아 여행 전시회 일본관 설치 일본 정부가 말레이시아 최대 여행 박람회에서 대규모 홍보전에 나선다. 잘 알려진 명소뿐 아니라 숨은 관광지까지 소개하는 등 관광객 유치에 공을 들일 계획이다. 일본정부관광국(JNTO)은 오는 5일부터 7일까지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마타(MATTA) 페어’에 일본관을 설치한다고 밝혔다. 일본관에는 17개 기업·지자체·단체가 공동 참여해 일본 각지의 여행 매력을 널리 알린다는 계획이다. 행사장에서는 일본행 항공권, JR패스, 패키지 상품 등을 구매한 방문객에게 접이식 여행 가방을 증정한다. 2025-09-01 11:00
-
[NNA] 패밀리마트 印尼, 앱 통해 주문·결제 간편 인도네시아 패밀리마트는 인도네시아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선보이며 간편 결제와 음식 주문 서비스를 본격화했다. 매장에서 판매하는 음료와 간식을 앱으로 주문·결제하고 지정한 시간에 바로 수령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높아졌다는 평가다. 패밀리마트는 최근 인도네시아에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FamiGo!’를 출시했다. 이용자는 매장에 줄을 서지 않고도 음료와 간단한 식사를 선택·결제한 뒤, 예약한 시각에 상품을 찾아갈 수 있다. 현지 패밀리마트는 일본 본사와 계약을 맺은 인도네시아 기업 2025-09-01 10:42
-
[NNA] 印 TVS, 물류업체용 전기 삼륜차 출시 인도 이륜차 대기업 TVS 모터는 화물 운송용 전기 삼륜차 ‘TVS 킹 카고 HD EV’ 판매를 개시했다. 라스트마일 배송(최종 소비자에 대한 배송)업체를 주 대상으로 한 모델이다. ‘TVS 킹 카고 HD EV’는 배터리 용량 8.9kWh, 주행 가능 거리 156㎞, 최고 시속 60㎞를 자랑한다. 완전 방전 상태에서 충전 완료까지 3시간 10분이 소요되며, 차량총중량(GVW)은 998kg. TVS는 차량에 스마트 기능도 탑재했다. 가격은 38만 5000루피(약 65만 엔, 델리 외 지역 기준)이며, 1차 판매 지역은 델리 NCR, 서부 라자스탄 2025-08-29 14:24
-
[NNA] 캐세이, 7월 여객 249만 명…전년 대비 24% 증가 홍콩 최대 항공사 캐세이퍼시픽항공(国泰航空)은 7월 운송 실적을 발표했다. 여객 수는 전년 동월 대비 23.9% 증가한 248만 9154명을 기록했으며, 전월 대비로도 8.2% 늘었다. 탑승률은 85.9%로 전년 동월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라비니아 라우(劉凱詩) 고객상무최고책임자(CCO)는 “7월 전반에는 해외에서 홍콩으로 돌아오는 유학생 등 장거리 수요가 활발했고, 후반에는 한국과 동남아를 향한 관광객 수요가 늘어나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고 밝혔다. 화물·우편 처리량도 10.5% 증가한 14만 156톤으로 집계 2025-08-29 13:56
-
[NNA] 1~7월 대중국 외자 투자 13% 감소한 4673억 위안 중국 상무부는 2025년 1~7월 외국인 직접투자(FDI) 실행액이 전년 동기 대비 13.4% 감소한 4673억 4000만 위안(약 9조 7000억 엔)이라고 발표했다. 감소율은 1~6월(15.2%)보다 다소 축소됐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1210억 4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6% 줄었고, 서비스업은 3362억 5000만 위안으로 집계됐다. 첨단 산업에 대한 투자액은 1373억 6000만 위안이며, 세부적으로 온라인 비즈니스 서비스업은 2.5배, 항공우주·설비제조업은 42.2%, 화학약품 제조업은 37.4% 각각 증가했다. 지역별 투자 동향은 일본이 5 2025-08-29 13:48
-
[NNA] 대만 내년도 국방예산, GDP의 3.32% 대만 행정원(내각)은 21일 개최된 행정원회(각의)를 통해 2026회계연도 중앙정부 예산안을 승인했다. 국방예산은 전년 대비 22.9% 증가한 9495억 대만달러(약 4조 5900억 엔)로 편성했으며, 역내총생산(GDP) 대비 3.32% 수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대만에 국방예산 증액을 요구해 온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의향에 부합하는 결정으로 평가된다. 행정원 주계총처(主計総処)에 따르면, 26회계연도 국방예산 내역은 국방부 지출 5614억 대만달러(20.1% 증가), 이미 편성 및 예정된 특별예산 1792억 대만달러, 기타 비영리 특 2025-08-29 13:41
-
[NNA] 日 돈키호테, 태국 논타부리에 첫 매장 오픈 일본의 종합 할인점 ‘돈키호테’를 운영하는 팬 퍼시픽 인터내셔널홀딩스(PPIH)가 태국 수도 방콕 북부의 논타부리현 지역에 첫 매장을 연다. 회사 측은 ‘돈돈돈키 센트럴 웨스트게이트점’을 내달 9일 개점한다고 밝히며, “논타부리에 매장을 오픈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교외지역에서는 낯선 일본 식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매장은 대형 쇼핑몰 ‘센트럴 웨스트게이트’ 지하 1층에 자리하며, 총 면적은 약 1110㎡. 신선식품 등 일본 식료품 2025-08-29 13:27
-
[NNA] 미얀마-태국, 수질관리 협력 미얀마와 태국 정부가 수질 관리와 오염 방지를 위한 공조에 나섰다. 미얀마 정보부는 양국 정부 관계자들이 지난 20일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 있는 한 호텔에서 회의를 열고 수질 관리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회의장에서 킨 마웅 이 미얀마 자원환경보전부 장관은 “국내 수자원과 수질 보호를 위해 국가수자원위원회가 설립됐으며, 2024년에는 국제기구와 협력해 지표수 수질 기준을 도입하고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태국 측에서는 프라세르트 부총리 겸 디지털경제사회부 장관이 참석해 2025-08-29 13:12
-
[NNA] 혼다, 印에 판매금융회사 설립 혼다가 인도에서 차량 판매 금융 사업에 본격 나선다. 혼다는 인도에서 대출·리스 등 판매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현지 법인 ‘혼다 파이낸스 인디아(Honda Finance India)’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신규 회사는 이달 1일 공식 출범했다. 본사는 북부 하리야나주 구르가온에 위치했으며, 자본금은 2억 8000만 루피(약 4억 7000만 엔)다. 전액 혼다 출자로 설립된 이 회사는 앞으로 인도 금융당국에 비(非)은행 금융회사(NBFC) 라이선스를 신청해 허가를 받는 대로 혼다가 판매하는 이륜차와 사륜차, 그리고 서비스 2025-08-29 13:01
-
[NNA] 中 전기차 '네타', 印尼 렌터카 업체에 100대 납차 중국 전기차(EV) 브랜드 ‘네타(NETA)’가 인도네시아 렌터카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 자동차 제조사 허중신능원자동차(合衆新能源汽車)의 전기차 브랜드 ‘네타’의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 네타오토 인도네시아는 운전기사 동반 렌터카 서비스를 운영하는 현지 기업 ‘럭셔리 트랜스 인도네시아’로부터 추가로 수주받은 전기차 100대를 8월에 인도했다고 밝혔다. 럭셔리 트랜스 인도네시아와 네타는 지난해 4월 전략적 협력관계를 체결한 뒤, 같은 해 12월 소형 SUV 모델 ‘네 2025-08-29 12:33
-
[NNA] 베트남, 젖소 감소에 위기감… 정부에 진정서 제출 베트남 축산협회는 베트남 내 젖소 두수가 줄어들면서 원유 생산 능력이 저하되고 있다며, 산업 보호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 달라는 청원서를 상공부, 농업환경부, 보건부에 제출했다. 현지 매체 사이공자이퐁 온라인이 보도했다. 응우옌 쑤언 즈엉 협회장은, 2010~2015년 기간 젖소 두수는 연평균 15%, 원유 생산량은 17%씩 각각 증가했으나, 2020~2024년에는 각각 0.4%, 3.3% 증가에 그쳤다고 밝혔다. 2025년 젖소 두수는 약 33만 두로 당초 목표의 65% 수준에 불과하며, 2030년 목표치인 65만~67만 두 달성이 위태로운 상황이다. 2025-08-29 12:17
-
[NNA] 홍콩 7월 CPI 상승률 1%… 증가폭 0.4p 축소 홍콩 정부 통계처는 7월 종합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1.0%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상승률은 전달보다 0.4%포인트 축소됐으며, 2021년 6월(0.7%)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통계처는 상승률이 둔화한 배경으로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시행한 고정자산이용세 감면 조치 변경을 꼽았다. 정부는 2024/25 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 1분기(4~6월)에 최대 1000홍콩달러(약 1만 9000엔)까지 면제했으나, 2025/26 회계연도 1분기에는 상한을 500홍콩달러로 낮췄다. 또 2024/25 회계연도는 7월 이후 고정자산이용세 감면을 2025-08-29 11:47
-
[NNA] 제2차 제너럴 어비에이션 전시회, 中 주하이 11월 개최 중국 광둥(広東)성 주하이(珠海)시는 오는 11월 27일부터 30일까지 제너럴 어비에이션(일반항공) 분야 전시회인 ‘2025 아시아 제너럴 어비에이션 전시회(AERO ASIA)’를 개최한다. 이 전시회는 격년으로 열리며, 이번이 두 번째다. 전시 면적은 실내외 합계 6만㎡에 달하며, 이 중 실내는 3만 5000㎡ 이상이다. 조직위는 연인원 6만 명이 행사장을 찾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외 기업이 참가할 예정으로, 해외에서는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한국, 아랍에미리트(UAE) 등 17개국·지역의 기업이 참가할 2025-08-29 11:09
-
[NNA] 美 4대 클라우드 2025년 자본적 지출, 50%↑ 대만 전자시보 계열 시장조사업체 디지타임스 리서치는 아마존닷컴, 구글 모회사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MS), 메타 등 미국 4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의 2025년 자본적 지출(연구개발비와 설비투자비 총칭)이 3510억~3570억 달러(약 51조 8000억~52조 7000억 엔)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전년 대비 최대 46% 증가하는 수치다. 4사가 인공지능(AI) 수요 확대를 겨냥해 2025년 자본 지출 계획을 잇따라 상향 조정한 데 따른 것으로, 종전 예상치(3150억~3200억 달러)보다 높아졌다. 디지타임스에 따르면 4사는 AI 수요에 2025-08-29 10:26
-
[NNA] 태국, 노동력 부족 해소 위해 스리랑카인 1만 명 수용 태국 정부는 노동력 부족 해소를 위해 스리랑카인 노동자 1만 명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국경분쟁으로 캄보디아인 노동자들이 잇달아 본국으로 귀국하는 사태가 발생해 태국은 노동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19일의 각의에서 스리랑카인 노동자 1만 명을 수용하는 시범계획을 승인했다. 스리랑카인 노동자는 노동자 수용에 관한 양해각서에 따라 입국하는 외국인 노동자와 같이 2년간 태국 취업이 허용되고 한 차례 추가 2년 연장이 가능하다. 이 밖에 네팔,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필리핀 노동자도 수용한다는 방침이다. 2025-08-29 10:05
-
[NNA] BMI, 말레이시아 내년 GDP 4.1%로 하향 시장조사업체 BMI는 말레이시아의 내년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4.2%에서 4.1%로 소폭 하향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그룹 산하 시장조사업체 BMI는 최신 보고서를 통해, 올해 GDP 성장률은 전년 대비 4.2%로 이전 전망을 유지했으나, 하반기 이후 수출 부진으로 둔화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2026년 성장률 전망은 기존 4.2%에서 4.1%로 0.1%p 하향 수정했다.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이 1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실질 GDP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4.4%를 기록하며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다. 수출은 미 2025-08-27 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