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백화점은 22일 올상반기 백화점 고객은 자신을 드러내는 데는 돈을 아끼지 않는 ‘포미(FOR ME)족’이었다고 분석했다.
신세계백화점은 포미족을 ‘불황 속에도 자신을 가꾸거나 자기 가치를 높이는 것과 관련된 소비, 즉 삶의 질과 미래투자를 위한 비용은 줄이지 않는 소비자'로 정의했다. 이들 포미족 덕분에 올 상반기 매출이 지난해에 비해 11% 늘었다.
포미족의 소비성향은 ‘Small Luxury(작은 사치)’ ‘Sexy(섹시함)’ ‘Green(친환경)’ 등으로 요약됐다.
‘Small Luxury’ 소비 패턴으로 명품 브랜드의 시계, 지갑, 구두, 가방 등 패션 소품 매출이 작년 동기 대비 40% 가량 늘었다. 특히, 30대 남성의 작은 사치 소비 현상이 두드러져 ‘브라이틀링’, ‘론진’ 등 남성 명품 시계 매출은 70%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신세계백화점의 전체 고객 중 30대 남성 비중도 지난해 10%에서 올해 13%까지 증가했다.
또 고급화장품 소비를 통해 만족감을 느끼려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화장품 매출은 작년 대비 38% 증가했다, ‘라메르’, ‘키엘’ 등 수입 고급화장품 브랜드는 매출이 2배 가까이 뛰었다.
지난 5월 화장품 부문은 월매출 300억원 가량으로 백화점 탄생 이래 최고 기록을 세웠다. 전체 매출에서 화장품이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6.9%에서 올해 9.4%로 늘었다.
작은 사치의 경향은 고급 란제리 브랜드의 인기에서도 드러났다.
불황 속에 고가의류 대신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화려한 속옷을 구매하는 경향이 늘면서 ‘바라라’, ‘아르마니’ 등 고급 란제리 매출이 각각 60% 가량 증가했다.
섹시함을 드러내는 미니스커트와 킬힐(뒷굽높이가 10㎝가 넘는 구두) 열풍도 거셌다.
역사상 가장 짧은 22㎝ 길이의 미니스커트가 등장했으며 미니스커트의 매출은 지난해에 비해 30% 가량 증가했다. 또 킬힐의 인기로 구두 편집매장에서는 ‘크리스찬 루부탱’, ‘마놀로 블라닉’ 등 하이힐 전문 브랜드의 매출이 70% 가량을 차지했다.
또 올 상반기에는 석면 파동 등 사회적으로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어느때보다 커지면서 친환경 소비가 식품을 넘어 의류.생활용품에까지 확대됐다.
친환경 상품의 매출은 지난해에 비해 상품군별로 20~9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재영 신세계백화점 마케팅 상무는 “올 상반기에는 불황으로 많은 어려움이 예상됐지만 ‘불황기 소비패턴이 깨졌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소비자들이 ‘가치소비’성향을 보여 백화점 매출이 크게 올랐다”며 “하반기에도 이런 소비트렌드가 당분간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상권 기자 kwo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