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심에 따라서 바른 말을 했다. 청와대와의 사전 교감은 없었다." 22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정운찬 국무총리 후보자는 세종시 문제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세종시의 원안을 수정하겠다는 발언과 관련해 청와대와 교감이 없었다는 본인의 변명이 사실이라면 총리의 기본자질도 없는 것"이라는 민주당 김종률 의원의 주장에 대한 답변이다.
세종시 논란은 이틀째 열린 이날 청문회에서도 최대 쟁점이었다.
야당 의원들은 정 후보자의 세종시 수정 발언에 대해 '청와대와의 사전 교감' 의혹을 제기하면서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공약 뒤집기, 현 정부의 국토균형발전 의지 약화 등을 주장했다.
정 후보자는 전날 청문회에서 밝힌 "세종시는 비효율적"이라는 자신의 소신을 거듭 밝혔다.
그러면서 "세종시 건설 자체는 반대하지 않지만 보완이 필요하다"며 "행정기관 이전 고시는 될 수 있도록 빨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 김종률 의원은 이에 대해 "정 후보자가 소모적인 갈등과 논란을 부채질하는 천둥벌거숭이 같은 발언을 했다"고 비판했다.
정 후보자가 "자족도시를 만들기 위해서 필요하다면 22조5000억원의 사업 예산은 물론이고 그 이상도 쓰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발언하자, 김 의원은 "총리는 그런 권한과 힘이 없다"고 지적했다.
자유선진당 박상돈 의원도 "세종시법은 국회가 제정한 것이고 예산권도 국회가 갖고 있다"며 "행정부는 집행권한만 갖고 있고, 총리는 세종시 기본계획을 변경할 법적권한이 전혀 없는데 수정 추진 운운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따졌다.
이에 한나라당 권경석 의원은 "세종시 문제는 총리가 자기 혼자 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니다. 정치권과 충청권, 정부의 의견수렴을 통해 약속을 지키는 방향으로 하면 된다"며 야당의 공세를 막았다.
정 후보자 장남의 미국 국적도 청문회에서 쟁점으로 떠올랐다.
정 후보자는 전날 인사청문회에서 아들 국적에 대한 민주당 김종률 의원의 의혹 제기에 "제 아이가 대한민국 국적을 상실했다는 말이냐"며 말도 안된다는 듯이 되물었다.
그러나 이날 오전 청문위원들에게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후보자의 장남은 병역은 마쳤지만 한국 국적은 상실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추궁하는 민주노동당 이정희 의원의 질문에 "현재 미국 국적 포기신청 중"이라며 "저의 특수한 상황 설명하면 이해할 것"이라며 적극 해명에 나섰다.
정 후보자는 "유학중 큰아이를 낳아 6개월 미국에서 살고 왔으며, 이후 한국에서 대학가고 군대가며 한국인으로 살았다"며 "군대를 마친 후 (미국에) 학생인턴으로 가려고 미국대사관에 비자를 신청했는데 출생지를 뉴욕이라고 쓰자 미국 출신이라며 비자를 거부당했다"고 했다.
그는 이후 아들이 자신에게 미국 국적을 포기하자고 제안했으나 자신이 "다음번에 미국 갈때 어떻게 하려고 하느냐. 한번 비자가 거부되면 다시 받기 힘들고 유학을 가면 학비감면 등 혜택이 있으니 다시 생각해보라"고 권했다고 설명했다.
정 후보자는 "아들이 군대를 가겠다고 해서 (제가) 고마워했다"며 자신의 아들은 일반적 경우와는 달리 한국과 미국의 국적을 서로 다른 이름으로 가졌다면서 "아무런 의도가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군대에서 나오면 2년 내에 (국적을) 선택해야 하는데 우리 아이는 미국 국적을 포기한 것으로 착각하고 그런 아이디어가 없었던 것 같다"며 단순 착오에서 국적 문제가 비롯됐음을 강조했다.
아주경제= 이나연 기자 ny@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